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비교과 영역' 평가기준 공개 필요

<8뉴스>

<앵커>

이런 공무원들의 태도도 문제지만 결국 더 큰 문제는 우리 입시제도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상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현실이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겁니다.

하대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장관상에 매달리는 봉사활동 경쟁.

대학별로 장관상을 평가하는 점수를 부여하기 때문입니다.

교과 성적이 비슷한 경우에는 봉사활동 평가같은 비교과 점수에서 희비가 엇갈릴 수 있습니다.

[이재영/연대 입학처장 : 교과가 조금 우수한 학생, 비슷비슷하지만 조금 우수한 학생이 비교과에 의해서 성적이 조금 바뀔 수가 있습니다.]

1점이 아쉬운 수험생은 장관상을 탐낼 수밖에 없습니다.

[수험생 : 같이 공부했던 언니 오빠들이 실제로 그 상(장관 상)을 가지고 대학을 가는 것을 보니까 아, 이게 정말 도움이 되겠구나.]

사교육에 기대도 보고, 대회를 열어 상을 주는 단체에 가입도 해보고, 학부모들은 절박하고 혼란스럽습니다.

[하미연/학부모 : 비교과에서 무엇을 판단하려고 하는 건지, 그 기준도 애매모호하고 잣대도 학부모들도 잘 모르고 있어요. 그것을 이용하려고 하는 업체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솔직히 우리 학부모들만 피해를 보고 있는 거고 학생들만 혼란이 가중되는 거거든요.]

교사들은 봉사활동이나 글짓기상에 대한 객관적 기준이 공개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박성현/목동고 대입지도교사 : 단지 학생들한테 많이 해와라 요구하는 수밖에 없거든요. 그래서 비교과 영역에 대한 객관화 내지는 수치화를 객관화할 수 있는 요건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나 대학들은 비교과 전형의 구체적인 평가 기준이나 항목을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명확한 기준이나 검증없이 남발되고, 끼리끼리 주고받는 장관상.

교육당국과 대학이 합리적이고 분명한 기준을 밝히지 않는 한 장관상을 타기위한 학생과 학부모의 방황은 계속될 수밖에 없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