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회, '정부 늑장 대처' 집중 질타

<8뉴스>

<앵커>

국회는 오늘(6일) 해당 상임위원회를 열어서 우리 정부의 대처방식을 집중적으로 질타했습니다. 특히 한나라당은 대북 정책의 재검토와 안보 관련 장관들의 해임을 요구했습니다.

보도에 김우식 기자입니다.

<기자>

긴급 소집된 국회 통외통위에서 여·야 할 것 없이 의원들은 정부의 늑장 대응 부분을 추궁했습니다.

[김용갑/한나라당 의원 : 대통령 보고가 5시 넘어야 이루어졌고 국가안전보장회의도 7시 30분에 열렸습니다. 이런 정부를 믿고 국민들이 잠이나 제대로 잘 수 있겠습니까?]

[장영달/열린우리당 의원 : 적어도 3시 32분 첫 발사가 됐다면, 우리나라의 외교안보회의는 적어도 5시쯤엔 열려야 한다.]

[이종석/통일부 장관 : 스커드나 노동급에 대해서는 정보 판단 후 보고하도록 돼 있다고 말씀드렸고요, 만들어 놓고 있는 매뉴얼대로 최선을 다했다는 뜻으로 말씀을 드렸습니다.]

이런 해명에도 불구하고 질타는 계속됐습니다.

[최재천/열린우리당 의원 : 제가 아는 매뉴얼과 다릅니다. 왜 NSC 상임위원회가 그렇게 늦게 열립니까? 그리고 NSC 상임위원장이 왜 7시에 출근합니까?]

[이해봉/한나라당 의원 : 대통령이 국가안보를 최종 책임지는 사람인데 대통령에게 중거리미사일을 쏘았을 때 보고 안하는 그런 국가가 어디 있다고 그래요?]

의원들은 이런 상황까지 초래한 것은 정부의 안이한 대북정책 때문이라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정의용/열린우리당 의원 : 발사 방향이 동북쪽이었기 때문에 우리 안보의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식으로 답변을 하셨는데 이런 인식이 뭔가 잘못된 것이 아닌가..]

한나라당은 국정조사를 실시하고 외교·안보 관계장관을 모두 교체하라고 요구했습니다

[박종근/한나라당 의원 : 햇볕정책에 따라서 끌고 와야 할 것을 책임지는 사람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면 책임지고 물러나야 되는 것 아닙니까?]

그러나 여당 의원들은 외교·안보라인의 책임은 모든 것이 검증된 뒤에 물어야 한다며 대북 대화 기조는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논란이 됐던 청와대 보고시점과 관련해 노무현 대통령이 보고받은 시각은 당초 알려진 어제 새벽 5시 1분이 아니라 5시 12분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