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탈북자' 대신 '새터민'으로 부르기로

<8뉴스>

<앵커>

탈북자라는 말이 앞으로 사라집니다. 정부는 '탈북자'를 '새터민'이라는 새 용어로 부르기로 했습니다.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고 사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허윤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70,80년대 북한을 탈출한 주민을 일컫던 ´귀순용사´는 90년대 들어 객관적 의미를 담은 탈북자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이 말은 지나치게 차별성만 부각시킨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정주하/탈북자 : 중국와서 탈북자 지겹게 듣다가 한국와서 또 탈북자, 어감이 안좋으니까 싫어하고.]

이런 이유 때문에 통일부는 지난해 9월부터 좀 더 친근한 용어를 찾는 작업에 나섰습니다.

우선 전자공청회에서 제안된 5개가운데 탈북자와 국어학자의 의견수렴을 거쳐 ´새터민´과 ´이향민´으로 압축했습니다.

이어 지난해말 여론조사를 실시해 ´새터민´을 사용하기로 최종 확정했습니다.

[최용기/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 새로운 터전에서 삶의 희망을 갖고 사는 사람, 고유어와 한자 만났지만 순 우리말, 정치적 거부감도 없다.]

통일부는 우선 새터민을 정부내 공식용어로 사용하고, 법률용어도 ´새터민´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 국립국어원과 함께 ´새터민´을 국어사전에 올리기로 하는 등 용어 정착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