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남북 공동농장' 조성 검토

대북식량지원 방식 전면 재검토

<8뉴스>

<앵커>

쌀 같은 곡물을 직접 사서 북한에 건네주던 기존의 식량 지원방식을 우리 정부가 전면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해외나 북한에 남북 공동농장을 만드는 방식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

SBS 단독취재, 허윤석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최근 관계부처 당국자들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한 비공개 회의를 잇따라 열고 대북식량지원 방식 문제를 집중 논의했습니다.

이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지시에 따른 것입니다.

정부가 검토중인 첫번째 방안은 중앙 아시아나 연해주 지역 등 제3국 계약재배를 통한 지원입니다.

남측이 토지를 임차하고 농기계와 농약, 비료 등 농자재를 공급하되 북측은 노동력을 투입해 수확하는 방식입니다.

두번째 방안은 제3국이 아닌 북한에 남북 공동농장을 조성해 쌀을 생산하는 것입니다.

[남성욱/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 농협과 북한 협동농장 단위별로 자매결연을 통해 농업생산력을 제고할 수 있다.]

현재 40만톤 규모의 쌀을 구입하는데 드는 1천5백억원 정도를 농장조성과 운영 자금으로 돌린다는 계획입니다.

민관이 50%씩 자본을 대는 매칭펀드를 통해 북한 내 라면공장을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국민 여론과 대북관계, 그리고 WTO 체제에서 제약요인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구체적 방식을 곧 결정할 방침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