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뉴스>
<앵커>
이렇게 북한이 정상회담을 먼저 제의해 온 속내는 과연 무엇일까? 북핵 위기와 경제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기 위해 던진 회심의 카드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이어서 허윤석 기자입니다.
<기자>
6.15 공동선언문은 김정일 위원장의 답방 시기를 '적절한 시기'로만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북한이 지난해 3월말 적절한 시기가 됐다고 판단한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이 북한과 함께 악의 축으로 규정한 이라크에 맹공을 퍼분 것이 같은 달 20일.
6자 회담이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틀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라크전은 북한을 견디기 힘든 위협으로 몰아붙였습니다.
결국 조여오는 국제사회의 포위망을 정상회담을 통한 민족공조 과시로 뚫으려했다는 분석입니다.
실리 챙기기라는 해석도 가능합니다.
[류길재/경남대 북한대학원 교수 : 식량 지원이라든지, 인프라 건설같은 경제 지원을 기대했을 수 있습니다.]
출범 초기 노무현 정부의 대북 정책을 떠 보고, 그에 걸맞는 관계를 세우려는 전략적 의미로도 풀이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남북 정상회담이 북한에 대한 압박 효과를 상쇄시켜 북핵 해법에 대한 미국의 불만을 불러와 한·미 동맹의 균열을 가져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반대의 시각도 있습니다.
[고유환/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 남북 정상들이 만나 한반도 평화 정착 조치들을 내 놓으면, 핵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현재로선 연내로 예상되는 경의선 철도 개통식이 정상회담의 최적기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김정일 위원장이 통일지도자상을 부각시키기 위해 열차를 타고 답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