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장애인 의무고용 전사업장 확대

<8뉴스>

<앵커>

장애인 취업이 좀 쉬워질 것 같습니다. 2007년까지 전사업장에 의무고용이 확대됩니다.

심층 리포트 김문환 기자입니다.

<기자>

안양시 명학동의 한 의류생산 업체. 청각장애인 12명이 구슬땀을 흘리며 일합니다.

{공장장}
"생산성이나 품질에서 정상인과 동일하고 전혀 문제 없습니다."

{청각 장애인}
"(힘들지 않아요?) 우리도 잘 할수 있는데 취직하기가 어려워요."

이렇게 일하고자 하는 장애인들의 절박한 요구를 그동안 대기업들이 앞장서 외면해 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장애인 의무고용 규정을 어겨 2001년 삼성전자가 28억 8천만원, LG전자 18억 4천만원, 국민은행 16억 3천만원, 하이닉스 반도체 11억 7천만원, 삼성물산 10억 3천만원의 범칙금을 냈습니다.

종업원의 2%를 장애인으로 고용하기보다 한명에 월 39만 2천원씩인 범칙금을 내는 쪽을 선택한 것입니다.

{업체 관계자}
"현실적으로 범칙금이 너무 적으니까 내고 말아..."

정부는 이렇게 장애인 고용을 외면하는 업체에 대해 더 많은 부담금을 매기는 차등부과금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공희송/노동부 장애인 고용과장}
"상습적으로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는 업체의 부담금을 크게 늘려 고용 촉진할 계획입니다."

장애인을 고용해야 하는 사업장도 현재 3백인 이상 업체에서 2007년까지 단계적으로 직원 50인 이상 업체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2%인 의무 채용비율도 궁극적으로 유럽선진국 수준으로 높인다는 방침입니다.

{노동부 과장}
"독일과 프랑스 같은 선진국은 전 사업장이 5% 장애인 의무고용. 우리도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현재 취업을 원하는 국내 장애인수는 60여만명. 이들은 차별이나 동정이 아닌, 함께 일할 수 있는 사회를 원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