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교육여건 개선, "시행착오 말아야"

<8뉴스>

<앵커>

최근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교육여건 개선사업에 대해 여전히 말들이 많습니다. 정책 취지는 좋은데 너무 조급하게 서두르는 것이 아니냐는 얘기입니다.

앵커 리포트입니다.

<기자>

교육대생들이 벌써 9일째 동맹휴업 속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습니다. 전국의 11개 교육대생 2만여명이 동맹휴업에 들어간 것은 교사충원 방식때문입니다.

즉 정부는 제7차 교육개혁 정책에 따라 초.중.고 학급정원을 오는 2천4년까지 35명으로 줄이려던 계획을 2년 앞당겨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이럴 경우 학급수 증가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만도 만4천8백여명이 충원돼야 하지만 교육대학 졸업생으로 충원할 수 있는 교사는 만명에 불과합니다.

부족한 교사는 중등교사 자격증소지자들을 활용한다는 정부 방침에 교육대생들이 반발하고 나선 것입니다.

{조신행/교육부 지방교육재정과장}
"이미 중학교 선생님의 소양을 받고 나온 분들이기 때문에 그렇게 크게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지 않는가.."

{황석근/한국교총 대변인}
"중등 자격 소지자를 아주 짧은 기간에 연수를 통해서 초등 자격증을 줘서 교사로 임명하면 결국 초등 교육의 전문성이 저하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정부계획대로 충원될 경우 2005년 부터는 교육대 졸업생들의 임용이 적체된다는 것도 교대생들이 강력히 반대하는 이유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원래 계획대로 개혁을 늦추자는 주장입니다. 교실을 늘리는 문제도 그렇습니다. 여건을 무시한 채 밀어부치다 보니 문제점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교사}
"교육 환경 개선에 같이 부응해서 만들다 보니까 여러가지 면에서 정말 협소한 가운데 만들고 있습니다."

{이종재 교수/서울대 교육학과}
"정치적인 업적을 얘기하는 데 있어 상당히 근사한 대목이 될지는 모르지만 교육의 내실을 기하는 데는 이건 너무 조급한 일입니다."

하지만 또 예산이 뒷받침될때 그나마 강행하지 않으면 언제 교육여건이 개선될수 있겠느냐 목소리도 많습니다.

{김준태/학부모}
"부분적인 조그만 부작용이 있다고 해서 중간에 중단을 한다거나 이러면 또 이거 언제 되겠습니까."

교육여건 개선은 꼭 필요하고 시급한 과제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만은 과거와 같은 시행착오가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많은 분들의 의견입니다.

의욕적인 추진에 못지 않게 공감대를 형성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앵커리포트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