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건교부, 조종사들 '위험' 건의 묵살

<8뉴스>

<앵커>

따지고 보면 항공 안전이 문제가 아니라 정부의 자세나 의식이 더 문제입니다. 항공안전 2등급 판정을 받기 전에 현장에서 일하는 조종사들이 제도 개선을 줄기차게 요구했으나, 건설교통부가 묵살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정준형 기자입니다.

<기자>

국회를 방문한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 대표들은 지난해 부터 몇차례나 건교부에 면담신청을 했으나 거부됐다고 주장했습니다. 항공안전을 위한 제도개선 필요성을 건의하려 했다는 것입니다.

{한철수/한국조종사협회 이사}
"만나주지 안았습니다. 이유가 어디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현장에 있는 조종사 대표들이 간곡하게 만나서 현안문제를 한번 검토를 해보자..."

조종사들은 정부 내에 항공 전문인력도 없으면서 현장 실무자들의 목소리 마저 무시한 것이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정인재/한국조종사협회 이사}
"필요한 것을 애기하면 그것이 제대로 접수되지 않는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쉽게 말하면 말이 안통하는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조종사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해 7월 국제민간항공기구가 우리 정부에 보낸 권고 사항과 이번 미 연방항공청의 지적 사항이 상당 부분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설교통부가 권고사항만 제대로 이행했어도 2등급 판정은 면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함대영/건설교통부 항공국장}
"96년 FAA(미연방항고청)가 형식적으로 검사하고 1등급 받았습니다. 이번에도 쉽게 1등급 받을 줄 알고 그냥 넘긴 것입니다."

건교부는 뒤늦게 지난 달 미 연방항공청의 권고에 따라 연간 7억 8천만원씩 주기로 하고 미국 컨설팅 회사에 용역을 의뢰한 사실도 새로 확인됐습니다.

조종사들은 정부의 안이한 대처로 국제적 망신을 사게 됐다면서 정부의 각성을 촉구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