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법원 심판대에 오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을 두고, 트럼프 행정부는 적극적인 여론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재판에서 진다면, 미국에 파괴적인 결과를 낳을 것이고, 또 미국 정부가 140조 원 넘는 돈을 돌려줘야 할 거라는 관측도 나왔습니다.
워싱턴에서 이한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트럼프 미 대통령은 최종 판결을 앞둔 관세 소송이 국가 안보와 직결된 문제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 대통령 : 연방대법원에서 부정적인 판결이 내려진다면 우리나라는 엄청난 파괴적인 결과를 맞게 될 겁니다.]
한국을 비롯해 일본 유럽연합과의 무역 합의를 성사시켰고 천문학적인 대미투자금을 받아낸 것도 관세 덕분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법원이 행정부의 관세 부과 권한을 빼앗아 간다면 미국은 다른 나라들의 관세 공격 앞에 무방비 상태가 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 대통령 : 아시다시피, 우리는 수조 달러를 갚아야 합니다. 우리는 수조 달러를 벌어들였습니다. 수십억 달러가 아니라, 수조 달러를 벌어들였습니다.]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는 재판에 지면 정부가 기업들에 환급해야 할 돈이 140조 원이 넘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어제(6일) 첫 대법원 심리에서는 대통령의 관세 부과 권한에 대해 일부 보수 성향 대법관들조차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핵심 무역 정책이 불확실성에 직면하자 트럼프 행정부가 본격적인 여론 결집에 나선 모양새입니다.
트럼프 2기 첫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이후 여당인 공화당의 분위기도 달라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정부 셧다운을 끝내기 위해 공화당 현재 의석수만으로 임시 예산안을 처리하라고 지시했지만, 상원의원들은 미동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집권 2기가 시작한 지 채 1년도 되지 않았지만 일부 언론은 이른바 트럼프 리스크로 인한 레임덕 현상이 감지된다고 보도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김호진)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