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핵잠수함 건조에 10년 소요"…'원자력협정' 개정 탄력?

<앵커>

"핵추진잠수함을 우리 독자 기술로 만들려면 앞으로 10년 정도 걸린다." 오늘(30일) 해군참모총장이 밝힌 내용입니다. 관건은 핵연료, 즉 저농축 우라늄을 우리가 군사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미 원자력협정이 개정돼야 하는 건데, 이번 한미 정상의 공감에 따라 이 개정에 탄력이 붙을 전망입니다.

김태훈 국방전문기자입니다.

<기자>

우리 군이 건조를 추진하고 있는 '장보고3 배치3'란 이름의 잠수함.

군은 이걸 5천 톤급의 핵추진잠수함으로 만드는 방안도 내심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유용원/국민의힘 의원(오늘 국정감사) : 배치3 1번함을 원잠(원자력잠수함)으로 바꾸는 게 가능합니까?]

[강동길/해군참모총장 : 결정이 난다면 (건조에) 10여 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핵연료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소형 스마트 원자로 기술을 비롯해 핵추진잠수함 건조의 핵심 기술은 거의 확보됐다고 국방부는 확인했습니다.

[안규백/국방부 장관 : 핵추진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을 이미 갖춰놨고 마지막에 연료가 필요했던 것인데.]

그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콕 집어 언급한 한화오션 소유의 미국 필리조선소에서 우리 군의 핵잠수함 건조가 가능할까.

현재는 수천 톤의 하중을 견디는 건조용 강화콘크리트 드라이독이나 특수 은닉시설 등이 없어 관련 시설을 갖춰야 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무엇보다 건조에 앞서 핵추진 연료인 저농축 우라늄의 군사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미 원자력협정부터 개정돼야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건조를 승인한 건, 평화적 목적의 우라늄 농축과 핵연료 재처리 등도 허용한 걸로 풀이돼, 협정 개정은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위성락/대통령실 안보실장 (어제) : 트럼프 대통령이 이(저농축 우라늄의 평화적 이용 등)에 공감하면서 한국의 진전된 역량을 토대로 원자력 등 핵심 전략산업 분야에서 더 큰 협력의 기회들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는….]

한편,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어제, '북한이나 중국 쪽 잠수함에 대한 추적 활동'을 언급했던 것과 관련해 "해당 표현은 특정 국가의 잠수함을 지칭한 게 아니"라면서 "단순히 북쪽, 중국 방향의 우리 해역 인근에 출몰하는 잠수함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 영상편집 : 정성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