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Z 조폭' 일당 야유회
유사투자자문 업체를 사칭해 비상장 공모주 투자 명목으로 18억 원을 가로챈 일명 'MZ 조폭'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경기북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2대는 사기와 범죄단체조직 혐의로 투자 사기 조직원 56명을 검거하고 이 중 9명을 구속 송치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이들은 2023년 4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서울과 수도권 일대에서 피해자 127명을 상대로 "비상장 공모주에 투자하면 고수익을 보장한다"며 18억 원 상당을 편취한 혐의를 받습니다.
범행 대상은 다른 리딩방에서 투자 손실을 본 피해자들이었습니다.
이들은 리딩방 피해자 명부를 확보한 뒤 "손실을 복구해 주겠다"며 정상 투자업체를 사칭하고 소비자 보호를 명목으로 환불을 도와주겠다고 접근해 오픈채팅방으로 유인했습니다.
이후 비상장 주식을 저렴하게 살 수 있는 것처럼 꾸며 허위 수익 인증 등으로 신뢰를 조성한 뒤 투자금을 받아 챙기고는 잠적했습니다.
조직원들은 1992년생부터 2004년생까지의 친구·선후배 관계로, MZ조폭을 표방해 '자아를 가지지 않는다', '명령에 복종한다'는 등 행동강령을 정해 범죄단체를 운영했습니다.
특수부대 출신 간부급 조직원을 중심으로 주 1회 내부 교육을 실시하는 등 치밀한 조직성을 갖췄다고 경찰은 판단했습니다.
경찰은 전국에서 접수된 동일 수법의 사건 127건을 병합해 수사를 벌여 이들의 근거지를 추적했습니다.
수사망이 좁혀지자 총책인 30대 남성 A 씨와 간부 등 3명은 범죄수익금을 들고 필리핀으로 도피했습니다.
경찰은 A 씨 등을 인터폴 적색수배하고, 약 13억 원의 범죄수익금에 대해 기소 전 몰수·추징을 신청했습니다.
또, 해외 은닉 자산에 대해서는 범죄수익을 동결하기 위해 인터폴이 시범 운영 중인 '은색수배(Silver Notice)'를 국내 최초로 요청, 검거와 재산 환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은색수배란 인터폴에서 시범운영 중인 신종 수배로, 각종 범죄수익과 자산을 추적, 동결, 환수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SNS에서 손실 보전이나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투자 권유를 받을 경우 신종 사기 수법일 가능성이 크다"며 "국외 도피 피의자에 대해서도 끝까지 추적해 반드시 검거할 방침"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경기북부경찰청 제공, 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