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맞벌이 부부 가사노동·경제력 비슷할수록 출산 의사 높다"

"맞벌이 부부 가사노동·경제력 비슷할수록 출산 의사 높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남편과 아내의 가사노동 분담 수준이 대등하고 경제력이 비슷할수록 출산 의사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늘(19일) 육아정책연구소의 학술지 육아정책연구 최신호에 수록된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 예측요인 탐색'(저자 안리라 고려대 박사) 논문에 따르면 맞벌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엔 '성평등' 요인이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습니다.

논문은 여성가족패널 2012∼2022년 자료에 포함된 49세 이하 맞벌이 기혼여성 데이터 3천314건을 토대로 연령, 자녀 수, 가구소득 등 여러 요인에 따른 출산 의사를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출산 의사에는 연령, 자녀 수 등 개인적 요인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성평등 요인, 경제적 요인, 인식·문화적 요인의 순이었습니다.

성평등 요인은 패널조사 문항에 포함된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률'과 '아내의 경제적 협상력'(아내의 시간당 임금을 부부의 시간당 임금을 합산한 값으로 나눈 비율)으로 측정했는데, 이 두 가지가 대등할수록 출산 의사가 높아진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률이 증가할수록 여성 출산 의사가 증가해 약 47% 지점, 즉 남녀의 분담률이 반반 수준일 때 출산 의사가 가장 높았습니다.

아내의 경제적 협상력 역시 30∼50% 수준에서 뚜렷하게 높아졌다가, 50%를 넘어서 아내가 남편보다 경제력이 높아진 후부터는 출산 의사가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에 대해 논문은 "남편의 가사노동 분담률이나 아내의 경제적 협상력이 평등한 수준일 때 부부간 합의를 통해 출산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해석했습니다.

경제적 요인인 가구소득의 경우 출산·육아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적정 소득 구간까지는 소득이 높을수록 출산 의사가 커졌다가, 이후부터는 오히려 출산 의사가 하락했다고 논문은 전했습니다.

특히 연 9천만∼1억 원 구간에서 급격히 낮아졌습니다.

인식·문화적 요인 중에선 개인주의 가치관은 출산 의사에 부정적 영향을, 평등한 성역할 가치관은 긍정적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논문은 "(출산에 있어) 경제적, 인식·문화적 요인보다 성평등 요인의 영향력이 높다는 것은 한국의 저출생 위기 해결을 위해 가정과 사회에서의 성평등 수준 향상이 여전히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며 이를 위한 노동시장 구조 개선, 양극화 해소 등의 정책적 노력을 제언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