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배터리 잔량 80%에 분리 작업…기준 위반"

<앵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소식으로 이어가겠습니다. 이번 화재 원인 가운데 하나로 리튬 배터리 분리 작업이 지목됐죠. 당시 리튬배터리의 충전율은 80%에 달했는데, 배터리를 분리할 땐 충전율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안전 기준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던 겁니다.

김형래 기자입니다.

<기자>

어젯(1일)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안질의.

이재용 국정자원장은 화재 발생 당시, 리튬배터리의 충전율을 묻는 의원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습니다.

[이재용/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 직원들하고 다시 면담하면서 배터리 SOC(충전율)는 80% 정도 됐었다고 확인했었고….]

배터리 업체의 분리 작업 안전 지침엔 충전율을 30% 이하로 낮춰둬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면서, 기본이 지켜지지 않았단 지적이 이어졌습니다.

[고동진/국민의힘 의원 : (충전율을) 30% 이하로 낮추기만 해도 전기 단락에 의해서 화재가 날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까웠을 것이다. 가장 기본이 안 지켜졌어요.]

리튬배터리는 강력한 외부 충격을 받으면 급격한 화학반응으로 내부 온도가 순식간에 치솟는 '열 폭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충전율이 30% 아래라면, 그만큼 내부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분리 작업 과정에서 충격을 받아도 열 폭주 위험성은 줄어드는 겁니다.

현안 질의에선 국정자원이 지난해 5월, 소방 당국의 전산실 화재안전조사를 거부했단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채현일/민주당 의원 : 2층, 3층, 4층, 5층 각 전산실 및 보안 구역 화재 안전조사 미실시라고 기재됐습니다. 소방의 화재 조사에 협조하지 않은 이유가 뭡니까?]

[이재용/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 당시 점검 과정에서 기기 오작동 등이 일어나서 조금 불안한 상황이 있었다고 합니다.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죠.)]

이 원장은 배터리 분리 작업의 안전 기준을 지키지 않은 것과 화재조사를 거부한 건 부적절했다며 연신 고개를 숙였습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윤태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