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수처, '윤 외압 의혹' 채 해병 사건 수사 재개

<앵커>

채 해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을 조사해 온 공수처가, 다시 사건에 대한 수사에 나섭니다. 지난해 말 비상계엄 이후 사실상 수사가 중단된 상태였는데, 공수처는 이 사건의 핵심 인물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휴대전화 포렌식 분석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한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12·3 비상계엄 이후 '채 해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 수사는 사실상 중단됐습니다.

[이재승/공수처 차장 (지난해 12월 9일) : (계엄 수사에) 사실상 공수처 인력 전원을 가동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오늘 브리핑을 열고 계엄 5개월 만에 수사를 재개한다고 밝혔습니다.

내일 오전, 사건 핵심 인물 중 한 명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휴대전화 디지털 포렌식 분석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공수처는 설명했습니다.

공수처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지난해 1월 압수했지만, 아직 잠금은 풀지 못한 상태입니다.

임 전 사단장도 "수사가 지연되고 있다"는 입장인데, 지난해 8월 포렌식에 이어 8개월 만인 내일도 참관합니다.

이로써 윤 전 대통령이 수사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이른바 'VIP 격노설'의 실체가 밝혀질지 관심이 몰리고 있습니다.

수사팀은 지난해 11월 말까지 관련자 조사를 이어왔고, 김계환 당시 해병대 사령관으로부터 "VIP 격노를 전해 들었다"는 관련자 진술도 여럿 확보했습니다.

앞서 군사법원은 수사 외압 의혹을 제기했다 항명죄로 기소된 박정훈 대령에게 무죄를 선고했는데, 재판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법원의 서면 질의에 답하지 않았습니다.

[윤석열/전 대통령 (지난해 5월 9일) : 국방장관에게 이렇게 좀 질책을 했습니다. 왜 이렇게 무리하게 진행을 해서 이런 인명사고가 나게 하느냐…]

수사를 재개한 만큼, 공수처가 조만간 민간인 신분인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에 나설 거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이소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