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렇게 사람들이 잠든 시간 수거된 생활 쓰레기는 소각장으로 옮겨집니다. 1년 내내 돌아가는, 이 소각장에서 일하는 사람들 역시 사고 위험과 또 유해 물질에 노출돼 있는데, 심지어 고용은 불안한 실정입니다.
이어서 하정연 기자입니다.
<기자>
벙커라고 불리는 곳에 쌓인 각종 생활 쓰레기를 크레인이 들어 올려 소각로에 집어넣습니다.
쓰레기 조각이 이리저리 날리고, 분진이 나오면서 내부는 항상 뿌옇습니다.
소각장 안으로 한번 들어와 봤습니다.
40~50도 정도 되다 보니까, 잠깐 있었는데도 숨이 막힐 정도로 뜨거운데요.
이 곳곳에 이렇게 먼지도 잔뜩 쌓여 있습니다.
이곳을 포함해 전국의 소각시설 노동자들은 종일 소각재와 사투를 벌입니다.
[A 씨/충북 소재 소각장 노동자 : 쓰레기를 태우고 나가는 가스는 그래도 여러 가지 화학 처리 같은 걸 해서 깨끗한 공기를 내보내려고 노력을 많이 하는데 실제 내부에 관한 규정은 하나도 없어요. 더러운 공기는 소각장에서 다 마셔서 깨끗한 공기를 내보낸다, 그런 우스갯소리도….]
[B 씨/충북 소재 소각장 노동자 : 야간에도 12시간 근로를 하고 있습니다. 일단 밤에 잠을 자지 못한다는 게 가장 힘들죠.]
4년 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소각장 노동자들을 상대로 혈액 검사를 실시했더니, 1급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고엽제 피해를 입은 베트남전 참전 군인보다 2~3배 높게 나오기도 했습니다.
서울시의 경우 이 조사 결과 이후 특수건강검진을 도입했지만, 그렇지 않은 곳이 더 많습니다.
소각시설 대부분은 지자체들이 민간업체에 운영은 물론, 노동자 건강 보호책임까지 맡기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A 씨/충북 소재 소각장 노동자 : 한 번도 그런 거에 대한 뭐 건강검진을 받았거나 한 적이 없어요.]
소각시설 특성상 노동자들은 항상 화상과 추락 등 각종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A 씨/충북 소재 소각장 노동자 : (저희 소각장에서) 제일 크게 났던 사고는 전신 화상을 입은 사고였는데 한꺼번에 재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증기가 폭발해서….]
3년 주기 입찰에서 위탁운영 업체가 바뀌기라도 하면 임금 등 각종 노사 합의 사항은 무효가 되고, 다시 고용될 수 있을지 불안을 느껴야 합니다.
[A 씨/충북 소재 소각장 노동자 : 멀쩡히 똑같은 직장에서 일하고 있는데 또 입사지원서를 내야하고 정말 저희가 고용되느냐 안 되느냐 아무것도 보장이 안 된….]
[박진덕/전국환경노조 위원장 : 소각 시설이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관심 밖의 현장입니다. 민간위탁 회사에 맡겨놓고 있는 실정이고….]
고된 육체노동을 통해 사회의 필수 기능을 유지하는 이들은 최소한의 안전과 노동조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박춘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