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민주당은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규칙을 확정했습니다 결국 이재명 전 대표 쪽이 주장해 온 방식대로 결론이 나면서 비명계 주자들은, 무늬만 경선이라고 반발했습니다.
민주당 소식은 박예린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민주당의 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6·3 대선을 위한 당의 경선 방식을 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으로 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021년 대선 경선 때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경선선거인단을 구성했던 '국민경선' 방식은 '역선택' 우려 때문에 채택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춘석/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 : 민주당 당헌에 명기된 제도 중 가장 현실적이고 시대 상황에 맞는 국민참여경선을 선택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비공개 회의장 밖까지 고성이 들릴 정도로 격론이 이어졌지만, 결론은 친명계가 주장해 온 '국민참여경선'이었습니다.
국민경선 방식을 요구해 온 비명계 대선주자들은 일제히 반발했습니다.
당심 50%를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은 당원들의 지지세가 강한 이재명 전 대표에게 유리한 방식이라는 것입니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국민경선을 포기하는 것은 국민을 신뢰하지 못하는 거라면서 무늬만 경선에 반대"한다고 했고,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경선 후보 대리인들이 회의에 참석하지 못하는 등 경선 룰 결정 과정이 비민주적"이라고 했습니다.
민주당은 예비 경선 없이 전국을 4개 권역으로 나눠 오는 16일부터 본 경선에 돌입하고, 이르면 이달 27일, 당의 대선 후보를 결정합니다.
조국혁신당은 이번 대선에 당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는데, 민주당은 정권교체를 위한 대승적 결정이라고 반겼습니다.
(영상취재 : 공진구, 영상편집 : 박춘배, 디자인 : 조수인·최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