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잘 몰랐던 동물 이야기, 수의사가 직접 전해드립니다.
얼마 전 내가 일하는 청주동물원에 독사의 독니를 제거해 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다. 살모사를 전시 목적으로 사육하려는데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독이 없는 살모사가 필요한 모양이었다.
동물복지를 우선하는 우리 동물원에 들어온 요청이었기에 살모사에게 최대한 문제가 없는 방식으로 진행해야 했다. 수의사들이 찾은 방법은 독낭의 절제나 독이 나오는 구멍의 무력화였다. 치과 치료할 때 사용되는 레진을 이용하여 독이 나오는 구멍을 막거나 정확한 독낭과 독니의 연결 부위를 확인해 잘라내는 등 다양한 방법이 논의됐다.
수술을 위해서는 일단 명확한 독낭과 관의 구조를 알아야 했다. 검사를 위해 살모사가 있는 곳을 찾았다. 독이 나오는 독니의 구멍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독낭의 구조와 위치를 특정하기로 하고 마취에 들어갔다. 어리고 작은 살모사였지만 다 큰 살모사에 비해 공격성은 뒤지지 않았고 이미 독니의 기능이 갖춰진 듯해 평소보다 조금 깊게 마취가 유지됐다. 한 시간 정도 독니에 조영제를 주입해 보려 갖은 노력을 해보았지만 진전은 없었고 아직 크지 않은 살모사의 독니를 탓하며 마취에서 깨우기로 결정했다.
마취기를 끄고 혹시 모를 사고를 대비해 안전한 통 안에 살모사를 뒀다. 뱀은 마취에서 깨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한 시간 정도 기다려도 큰 변화가 없었다. 추운 CT실보단 따듯한 사육장이 마취 회복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살모사를 옮겨놓고 다른 일을 보기 위해 자리를 떴다. 서너 시간 후 다시 살모사를 보러 가니 아직도 그 자세 그대로 있었다. 아무리 마취에서 늦게 깬다고 하더라도 설마 서너 시간이나 걸릴까 하는 생각에 수의사들은 마취 사고로 인한 폐사가 일어난 것으로 결론지었다.
무거운 마음으로 요청을 한 수족관에 폐사 사실을 알리고 그래도 혹시 모르니 하루 정도는 기다려보겠다는 기도와 같은 말을 전하고 퇴근을 했다. 다음날 출근하자마자 찾아본 살모사는 움직이고 있었다. 폐사하지 않고 마취에서 회복 중인 상황이었는데 처음 겪는 상황에 잘못된 판단을 한 것이었다. 어쩌면 마취 사고로 인한 폐사로 마무리될 뻔한 살모사는 다행히 살아서 있던 곳으로 돌아갔다. 독낭이 더 커지고 나면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2025년은 을사년, 푸른 뱀의 해다. 푸른색을 띠는 대표적인 뱀으로는 '블루 코랄'이라고 불리는 long glanded blue coral snake가 있다. 동남아시아의 열대우림 지역에서 서식하는 블루 코랄은 몸 전체의 검푸른 비늘과 머리와 꼬리의 주황빛의 비늘이 어우러져 멋진 모습을 뽐낸다. 이로 인해 '푸른 산호(blue coral)'라는 아름다운 이름이 붙게 되었다. 하지만 '긴 샘(long glanded)'은 다른 독사들에 비해 긴 독샘을 갖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다시 말해 매우 아름다운 모습과 매우 많은 양의 독을 가진 뱀이라는 것이다.
국내에서 볼 수 있는 푸른 뱀으로는 넓은띠큰바다뱀이 있다. 푸른빛을 띠는 띠가 머리부터 꼬리까지 이어지는 모습을 가진 이 뱀은 우리나라에선 잘 보이지 않다가 해수 온도 상승과 함께 여러 지역에서 그 모습이 확인되고 있다. 이 뱀 역시 은은한 푸른빛이 도는 모습과는 어울리지 않게 꽤나 무서운 독을 갖고 있다.
독이 없는 뱀과는 다르게 독사는 위에서 얘기한 것처럼 아름답거나 위압감이 느껴지는 모습을 갖고 있다. 신비한 느낌이 드는 비늘을 갖거나 날카로운 비늘과 어두운 색을 띠며 각진 머리와 날카로운 독니를 가진 모습은 일부 사람들에게 직접 사육해 보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파충류를 사육하는 사람들 중에 뱀, 그중에서도 특히 독사에 매료된 사람들은 밀수가 아닌 합법적으로 들어오고 근친으로 태어나지 않은 건강한 개체를 안전하게 사육하길 원한다. 하지만 멸종위기종이나 야생동물의 보호를 위해 마련된 법들은 독사를 수입하거나 전시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이런저런 법들을 따르며 독사를 사육하려면 동물원이나 수족관을 개설해서 독사를 수입해 사육하거나 해당 기관에 입사하여 사육사가 되는 방법뿐이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