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프리즈와 함께한 3년, 키아프의 성과와 과제

'키아프리즈'의 미래는?

키아프 2024

세계적인 아트페어 프리즈가 개최하는 프리즈 서울이 올해로 세 번째를 맞았다. 런던에서 발행되던 미술 잡지에서 시작해 아트 바젤과 함께 세계 아트페어 시장을 양강 구도로 분할한 프리즈는 뉴욕과 LA에 이어서 세 번째 해외 개최 아트페어의 도시로 2022년 서울을 선택했다. 그런데 다른 지역과 달리 서울에서는 토종 아트페어인 한국화랑협회의 키아프와 동시에 같은 장소에서 열린다. 한국의 미술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글로벌 유명 갤러리들의 정수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국내 미술시장의 자본이 프리즈에 참가하는 글로벌 갤러리들로 빠져나갈 것이라는 우려가 교차됐었다. 키아프로서는 프리즈 동시개최를 통해 경쟁력을 키우고 국내 미술 시장 기반을 확대해 나가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았다. 키아프를 앞세운 <키아프리즈>라는 브랜딩까지 만들어 냈다.

미술 시장이 붐을 이루던 2022년과 달리 경기침체기에 열린 올해의 세 번째 키아프리즈는 개막 전부터 기대보다는 우려가 컸다. 그리고 막상 뚜껑을 열자 ‘역시’라는 반응들이 이어졌다. 참가 갤러리 수가 지난해에 비해 축소됐는데, 특히 프리즈의 경우 수백억 원대의 작품은 아예 없고 수십억 원대 작품들도 이전 두 해에 비해 줄었기 때문이었다. 전반적으로 글로벌 메가 갤러리들이 올해엔 ‘힘을 빼고’ 참가했던 것이다. 그래도 미술애호가들에게 갈증을 해소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였던 것만은 분명하다.

조지 콘도, 자화상(2024), 스프루스 마거스 갤러리

우선 프리즈는, 눈이 부실 정도의 화려함은 없었지만 내실 있는 작가와 작품들로 글로벌 미술 시장의 동향을 알 수 있게 해줬다. 현대회화의 거장 조지 콘도와 팝아트의 계승자 케서린 번하드, 정물화의 신세계를 연 니콜라스 파티가 든든하게 받쳐줬고, 데이비드 즈워너 갤러리는 쿠사마 야요이의 호박 회화를 스테인레스 조각과 함께 전면에 내세웠다. 독일의 신표현주의 대가 게오르크 바젤리츠는 화이트 큐브와 타데우스 로팍 두 곳에서 대작이 전시됐다.

쿠사마 야요이, 호박, 데이비드 즈워너 갤러리
게오르크 바젤리츠, 독수리의 추락, 타데우스 로팍

글로벌 회화의 대세인 여성과 흑인에 대한 주목도 확인할 수 있었다. 페첼 갤러리가 내세운 에밀리 메이 스미스의 작품은 이전에 비해 여성성을 명확히 했고, 제시카 실버맨 갤러리는 튀르키예 출신 하얄 포잔티 개인전으로 꾸몄다. 갤러리 1957의 아모아코 보아포와 하우저 앤 워스의 헨리 테일러는 자신감 넘치는 흑인의 표정을 담아낸 작품으로 전시장에 힘을 더했다.

에밀리 메이 스미스, 빗자루, 페첼 갤러리
헨리 테일러, Blue Period, 하우저 앤 워스 갤러리

무엇보다 현대 미술계에 화제를 몰고 다니는 작가들의 신작도 반가웠다.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2024년작 <선데이>는 번쩍이는 금 도금 철판 작업이다. 철판에 총을 쏴 총알 구멍을 그대로 남긴 뒤 순금으로 도금했는데, 총기사고가 빈번한 미국 사회의 불안과 총기 판매를 통해 부를 일구는 총기 업계를 총탄 자국과 황금으로 패러디한 것이다. 전체는 64점 연작인데 이중 4점이 전시됐다. 예전 플라토 미술관에 이어 요즘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서 두 번째 국내 전시를 열고 있는 노르웨이의 현대미술 그룹 엘름그린과 드라그셋은 성장기 어린이의 자아를 드러내 보이는 <Did I Grow?>를 페이스 갤러리에서 선보였다.

마우리치오 카텔란, 선데이, 가고시안 갤러리
엘름그린 & 드라그셋, Did I Grow?, 페이스 갤러리

글로벌 미술시장을 선도하는 갤러리들이 즐비한 프리즈의 고객층은 사실 슈퍼 콜렉터들이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고가 작품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수억 원에서 20~30억 원을 호가하는 작품들이 여기저기 눈에 띄었는데 돈을 싸 들고 가도 작품을 바로 살 수는 없다. 갤러리 나름의 기준에 따라 고객을 검증한 뒤에 판매하는 것이 관행이다. 아트페어가 열리기 전에 고객 리스트를 통해 사전에 판매하는 경우도 많다. 고객 리스트에 새로 이름을 올리는 것 역시 검증을 거쳐야 하는 건 마찬가지이다. 그런 관문을 거친 국내 슈퍼 콜렉터들이 이번 프리즈에서 얼마나 지갑을 열었는지 구체적인 통계는 나오지 않았지만, 글로벌 갤러리들의 기대 수준도 이미 낮춰져 있었을 것이다.

슈퍼 콜렉터가 아닌 미술 애호가들은 코엑스 1층과 3층을 오가며 ‘키아프리즈' 참가 318개 갤러리들을 둘러보며 눈호강을 할 수 있었다. 프리즈에 7만여 명, 키아프에 8만여 명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프리즈와 함께 하는 세 번째 전시를 통해 키아프 역시 역량을 키워가고 있었다. 3층에서 열리는 프리즈에서 글로벌 미술 동향을 파악한 뒤, 1층으로 내려와 키아프에 전시 중인 중저가의 국내 작가 작품을 구매하는 관람객들이 여기저기 눈에 띄었다. 일본과 타이완을 비롯한 해외 갤러리들의 선전 또한 인상적이었고, 215억 원으로 이번 '키아프리즈' 전체에서 최고가 작품인 페르난도 보테로의 연작 <더 스트리트>는 압권이었다. 프리즈와 키아프를 오가는 2층 중간 지점에 국내외 신생 갤러리들의 전시를 따로 마련한 것 역시 참신한 아이디어였다.

페르난도 보테로, 더 스트리트, 아트 오브 월드 갤러리

키아프와 프리즈의 동시개최는 이제 두 번 남게 됐다. 2027년 이후에는 프리즈 서울이 언제, 어디서 열릴지 알 수 없다. 저물어 가고 있는 홍콩 미술시장의 대안으로 서울과 도쿄, 싱가포르가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올 1월의 싱가포르 <아트 SG>나 7월의 <도쿄 겐다이>와 성적표를 비교하면 서울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최근 복병이 하나 등장했다. 프리즈가 미국 뉴욕의 유서 깊은 아트페어 <아모리 쇼>를 인수한 것이다. 해마다 9월 초에 열리는 <아모리 쇼>는 프리즈 서울과 기간이 겹치는데, 올해에는 글로벌 메가 갤러리들이 참여하지 않으면서 빛을 잃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프리즈가 110년 넘은 전통의 미국의 아트페어를 인수해서 이대로 방치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프리즈 서울과 아모리 쇼 둘 중의 하나는 개최 시기가 바뀔 수도 있다. 둘 중 어느 아트페어의 개최 시기가 바뀔지 아직은 아무도 모른다. 코엑스에서 키아프와 함께 열리는 방식도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다. ‘키아프리즈’의 수혜를 입고 싶어하는 키아프로서는 신경 쓰이지 않을 수 없는 문제로, 그만큼 앞으로의 2년이 더 중요해진 셈이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