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GTX 변전소 반대" 주민 반발에…전자파 공개 측정

<앵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가 지나는 곳의 근처 주민들이 GTX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변전소 설치에,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전자파가 나와서 위험하다는 겁니다. 그러자 정부가 전자파 측정 결과를 공개하며 주민 설득에 나섰습니다.

노동규 기자입니다.

<기자>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 B와 C 노선이 예정된 서울 전농동 청량리역.

기찻길 옆 한국철도공단 부지에 GTX 동력 공급을 위한 필수 시설, 변전소가 들어설 계획입니다.

길 건너 약 40m 거리에 근접해 있는 신축 아파트 주민들은 변전소 설치에 반발하고 있습니다.

[청량리역 인근 아파트 주민 : 지금 여기 1층이 어린이집이고….]

주민들은 변전소에서 나올 전자파를 우려합니다.

[청량리역 인근 아파트 주민 : 지금 주민들은, 특히 어린아이들 있는 가정들은 좀 많이 심각하게 걱정을 하시고….]

경기 부천시에서도 비슷한 갈등이 이어지자, 정부가 도심에 위치한 매헌변전소를 공개하고 전자파 측정에 나섰습니다.

GTX처럼, 지중 송전 선로로 받은 154kV 고압 전력을 25kV로 낮춰 신분당선에 공급하는 곳입니다.

측정 결과 지하 4층 변전시설 25m 위 지상에서 측정한 전자파 수치는 무의미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철환/국토교통부 철도안전감독관 : 0.04μT(마이크로테슬라)가 나옵니다.]

[서정관/국토교통부 수도권광역급행철도과장 : 아무 데나 갖고 가, 어디 시골 산속에 들어가도 이 정도 수치가 나오는 거예요.]

지하 주변압기 바로 앞 1m 거리 측정 결과 역시 2.8마이크로테슬라.

안전기준치 83.3마이크로테슬라에 크게 못 미쳤고, 전자레인지나 헤어드라이어기에서 나오는 전자파 보다도 훨씬 낮았습니다.

[김윤명/단국대 전기전자공학부 명예교수 : (2007년 WHO가) 일반인에게 노출되는 극저주파 전계는 건강문제는 없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낮은 수준의 장기간 (자계) 노출에 대해 암이 진전된다는 생체작용은 밝혀진 바 없으며….]

국토부는 GTX가 지나갈 수혜 지역에 변전소를 설치하는 게 원칙이라는 입장입니다.

국책사업을 둘러싼 갈등은 더 늘어나는 추세인데,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위원양, 디자인 : 김규연, VJ : 김 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