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푸틴, 2주 전 "한국 감사"…북러 자동군사개입, 돌발변수?

<앵커>

이 내용 안정식 북한전문기자와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

Q. 북러 자동군사개입, 예상 못한 돌발변수?

[안정식 북한전문기자 : 지금 말씀하신 대로 2주 전만 하더라도 푸틴 대통령의 한국 발령 발언이 상당히 유화적이었습니다. 세계 주요 통신사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뭐라고 했냐면 한러 관계가 악화되지 않기를 바란다. 또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직접 무기 공급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대단히 감사하게 생각한다 이렇게 얘기를 했거든요. 그런데 이번에 예상을 뛰어넘는 합의를 나온 걸 보면 우크라이나 전쟁을 하고 있는 러시아한테 북한의 포탄 지원이 그만큼 절실하다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고요. 또 한 가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는 서방 세계에 대해서 북러 밀착을 통해서 하나의 경고를 했다, 이렇게 해석할 수 있는 부분도 있겠습니다.]

Q.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재검토까지?

[안정식 북한전문기자 : 사실 이 우크라이나 문제를 놓고 보면 한국하고 러시아는 각자 카드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 입장에서 보면 우리 국산 방산 무기 유명하지 않습니까? 여러 나라에서 사려고 하는 무기죠. 이런 무기를 우리가 마음먹고 우크라이나에 지원을 하면 러시아가 상당히 부담이 되겠죠. 하지만 러시아도 카드를 갖고 있습니다. 북한의 재래식 무기, 특히 공군 전투기 같은 건 굉장히 노후화되어 있는데 이걸 러시아가 신형으로 바꿔 주면 우리한테 부담이 되는 거거든요. 그래서 서로에게 선을 넘지 말라는 경고를 하면서 그동안 자제를 해 왔던 건데 오늘(20일) 우리 정부 발표를 보면 러시아가 위험한 선에 근접하고 있다, 이렇게 판단을 한 것 같습니다.]

Q. 앞으로 한러 관계는?

[안정식 북한전문기자 : 지금보다는 조금 더 위험한 수준에서의 밀당이 계속될 것 같습니다. 러시아가 북한과 자동 군사개입에 버금가는 합의를 했지만 당장 군사적으로 뭘 하겠다는 건 아니고요. 우리 정부도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을 재검토하겠다, 이런 말을 했지만 당장 행동에 옮기겠다, 이런 건 아닌 것 같거든요. 서로 경고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인 상태에서 관망을 하면서 더 위험한 선을 넘지 않도록 하는 상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 같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다음 주부터 이어지는 한미 훈련에 대해서 북한과 러시아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가 일차적으로 중요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영상편집 : 박정삼)

▶ 정부 "북러 군사협력 강화 규탄…우크라 무기 지원 재검토"
▶ 북러 "전쟁 땐 지체없이 군사 원조"…1961년 동맹 복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