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불법 리베이트' 수사…의료계 전방위 확산

<앵커>

이렇게 정부와 의료계가 맞서고 있는 상황에서, 복지부가 지난 두 달 동안 신고받은 의료계 불법 리베이트 사건들을 모아서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 제약사 직원들이 의사의 개인적인 일을 대신해 주거나, 금품을 준 사례도 있는 걸로 파악됐습니다.

이 내용은 배성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보건복지부는 올해 3월부터 두 달 동안 의약품과 의료기기에 대한 '불법 리베이트' 신고를 받았습니다.

제약사 직원 일부가 의사 집회에 동원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집중 신고 기간을 가진 겁니다.

복지부는 신고된 사건 가운데 20여 건은 수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지난달 말 경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제약사 직원들이 자사의 약을 처방해 주는 대가로 의사의 개인 용무를 대신 봐주거나 금품을 제공한 사례도 있는 걸로 파악됐습니다.

[보건당국 관계자 : 현금이나 상품권을 제공한다든지 아니면 식음료나 회식비 같은 걸 제공하는 그런 형태들도 있었고요.]

경찰은 조만간 복지부가 수사의뢰한 사건들을 전국 관할 수사청에 배당해 조사에 나설 방침입니다.

앞서 국민권익위원회도 고려제약이 의사들에게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한 의혹이 있다고 보고 경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조지호 서울경찰청장은 고려제약 사건의 경우, 고려제약 관계자 8명, 의사 14명이 입건됐고, 수사 선상에 오른 의사만 1천 명이 넘는다고 밝혔습니다.

넉 달째 집단행동 중인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한 불법 리베이트 수사도 진행 중입니다.

경찰은 지난주 비급여 비타민 주사제 등을 과잉 처방한 뒤 제약사로부터 회식 비용 등을 받은 한 대학병원 전공의들을 입건했습니다.

정부와 의료계 간의 강 대 강 대치가 이어지는 가운데 의료계 불법 리베이트 수사가 전방위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윤성, 디자인 : 이종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