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돌입…정부 "구상권 청구 검토"

<앵커>

의료계가 집단 휴진을 예고한 한 주가 시작됐습니다. 먼저 오늘(17일)부터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들어갑니다. 휴진에 참여하는 교수들이 진료와 수술 일정을 미루면서, 환자들의 근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대병원으로 가보겠습니다.

김지욱 기자, 오늘 휴진에 들어가는 병원이 어디 어디입니까?

<기자>

네, 저는 지금 서울대병원 본관 앞에 나와 있습니다.

무기한 휴진에 들어가는 곳은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 강남센터까지 이렇게 모두 4곳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아직은 환자들이 병원을 찾지 않아 한산한 모습입니다.

서울대 의대 교수 비대위 측은 외래 휴진이나 축소, 수술과 시술 등을 연기한 교수들이 모두 529명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체의 절반이 넘는 교수들이 참여하면서 수술실 가동률도 33.5% 정도로 떨어지고, 진료는 40%가량 줄어들 걸로 예상됩니다.

다만, 비대위 측은 휴진 중에도 응급, 중환자에 대해서는 정상 진료를 하는 등 긴급상황에 대비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앵커>

치료가 급한 환자들은 병원 예약 날짜만 기다려 왔을 텐데, 환자들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오늘 휴진이 현실화되면서 중증 질환자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할 거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투석 환자 : 하다 보면 의사가 없어서 진료를 못하든가 하면 환자 있는 데는 문제점이 생길 거 아니에요.]

연세대 의대 교수들이 27일부터 휴진에 동참하기로 했고, 울산의대, 가톨릭의대 교수단체도 무기한 휴진에 의견을 모을 것으로 알려져 환자들 걱정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휴진이 계속되면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한 의료 공백은 불가피할 걸로 보이는데, 정부는 대학병원장들에게 교수들의 진료 거부에 대한 불허를 요청했습니다.

또 휴진 장기화로 병원 손실이 발생하면 구상권 청구 검토를 요청하겠다며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박기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