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개원가 다수 "전공의 도와야 하지만…총파업 의미 · 가능성 없어"

개원가 다수 "전공의 도와야 하지만…총파업 의미 · 가능성 없어"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이번 주 중으로 전 회원 대상 총파업 찬반 투표를 실시할 예정인 가운데 개원가에서는 이를 두고 긍정·부정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오늘(3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 집행부의 총파업 추진에 개원가는 "의대생, 전공의에 힘을 보태야 한다"는 데에는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지만, "개원가 휴진은 실질적으로 어려우며 의미도 없어 총파업 대신 다른 투쟁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회의론도 다수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의협은 지난 2일 열린 전국 시·도의사회 회장단 회의를 거쳐 이르면 4일부터 총파업 투표를 실시하고 오는 9일 전국 대표자 회의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겠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앞서 지난달 30일에는 전국서 연 '대한민국 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에서 임현택 의협 회장이 "6월부터 본격적으로 의료 농단에 대한 큰 싸움을 시작한다"며 "이제는 개원의, 봉직의도 본격적으로 이 큰 싸움에 나와줘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같은 임 회장의 선언과 총파업 추진에 개원가는 "구체적 협의나 논의가 전혀 없었다"고 우려하는 분위기입니다.

시·도의사회 회장단 회의에 참석했던 한 지역의사회 회장은 연합뉴스에 "누구랑 논의가 됐길래 파업 얘기가 나온 건지 모르겠다"며 "회의 내용도 사전에 공지가 되지 않았고, 파업에 대해서는 각 지역 회장들과 논의된 바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내부에서 불만이 많았다"고 토로했습니다.

의협 산하 직역의사회인 개원의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임 회장이 '큰 싸움' 발언을 할 때까지 내부에서 총파업에 대한 합의가 전혀 없었다"며 "지도자 회의를 거쳐서 뜻을 모으는 과정에 많은 논란과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같이 총파업 추진 과정에서 내부 잡음이 나오는 가운데 개원가 의사들 다수는 총파업의 가능성과 효과가 떨어진다고 보고 다른 투쟁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제42대 시·도의사회장 긴급 회의'에 들어가는 한 참석자 (사진=연합뉴스)

개원의협의회 관계자는 "의협 의사결정 구조는 회장 혼자서 '이거 하자'고 한다고 해서 다 따라가는 구조가 아니다"며 "내부에서 총파업 얘기가 나왔어도 지금처럼 합의가 전혀 안 된 상태로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 관계자는 "외래만 하는 의원이 휴진 투쟁을 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개원가가 파업한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또다른 지역의사회 회장도 "총파업이 가져올 효과에 대해 우려하는 얘기가 많았다"며 "실질적으로 총파업에 대한 국민 여론이 좋지 않고, 국민에 또다른 (의료) 부담을 주는 건 지금 올바른 전략이 아닌 것 같다는 의견과 (휴진 대신) 사직 전공의에 대한 경제적 지원 등을 강화해야 한다는 얘기가 많이 나왔다"고 전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에 본격적인 형태의 무기한 집단행동 대신 자율적 휴진을 하도록 하고, 다른 방식의 '강경대응'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좌훈정 서울시의사회 부회장 겸 개원의협의회 부회장은 "상식적인 '파업' 개념보다 토요일 진료를 줄이거나 주 40시간에 맞춰 전체 진료 시간을 줄이는 '준법투쟁' 개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강경 대응이 무조건 파업만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 법적 대응이나 전공의 지원, 정부 정책 비판 등에서 좀 더 강한 대응을 하자라는 주문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개원가의 대다수는 "현 의대 증원 관련 투쟁에서 의대생, 전공의에 비해 개원가 참여가 미진해 더 적극적으로 전공의들을 도와야 한다"는 데에는 동의했습니다.

좌훈정 부회장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입시 요강을 발표하는 등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돌아갈 길이 끊겼는데, 개원의도 싸움에 동참할 수밖에 없다"며 "의대생과 전공의들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크게 늘리는 것 등 여러 가지 복안을 논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개원의협의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이형민 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은 "이미 개원의협의회 차원에서 어떤 식으로든 참여해야 한다는 건 진작부터 나왔던 발언이고, 따로 회의하지 않았어도 다들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며 "그럴 경우 응급실을 어떻게 지킬지 얘기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다른 지역의사회 소속 개원의는 "(파업을 하면) 병원들이 버틸 수 있을까 싶지만 전공의들이 안타깝고 현 상황이 답답하니까 선배들도 뭔가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지역 촛불집회에 참여했다는 다른 지방 개원의도 "(전공의들을 도와야 한다는) 집행부에 힘이 실리지 않을까 한다"며 "임 회장 방침에 따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