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Pick] 섬세한 필치로 석가모니 일생 담은 '이 그림', 21년 만에 국보 됐다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국보 지정(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연합뉴스)
석가모니의 일생과 가르침을 화폭에 담아낸 조선시대 불화가 국보가 됐습니다.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팔상도를 대표하는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를 국보로 지정했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이번 국보 지정은 지난 17일 문화재청이 국가유산청으로 이름을 바꿔 출범한 뒤로 첫 사례로,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는 2003년 보물로 지정된 지 약 21년 만의 국보 승격입니다.

순천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만든 불화는 영산회상도 1폭과 팔상도 8폭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영산회상도는 석가모니가 제자에게 설법하는 모습을 담은 불화를 뜻하며, 팔상도는 석가모니의 생애에서 역사적인 사건을 8개의 주제로 묘사한 그림으로, 불교 문화권에서 비슷한 형태의 그림을 볼 수 있으나 주제와 도상, 표현 방식은 나라마다 다릅니다.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중 영산회상도.

송광사 팔상도에는 석가모니가 도솔천에서 코끼리를 타고 사바세계로 내려오는 장면, 석가모니가 룸비니 공원에서 마야부인의 옆구리를 통해 출생하는 장면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중 팔상도.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에는 제작 연대와 불화를 그린 화승이 명확히 남겨진 덕분에 조선 영조(재위 1724∼~1776)대인 1725년에 승려 의겸 등이 그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영산회상도와 팔상도를 함께 조성해 전각에 봉안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크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순천 송광사 팔상도는 후기 팔상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팔상도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불교 미술사적으로 큰 가치가 있다"며 "영산회상도를 중심으로 팔상도 각 폭이 통일된 필선과 색채를 유지하면서 수많은 화제로 구성된 팔상의 인물들은 섬세한 필치로 묘사하고, 사건에 따른 시공간의 전환을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등 예술적 가치 또한 뛰어나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