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PC방이나 노래방, 클럽에서 바이러스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얼마 전 정부가 강력한 방역 지침을 내렸습니다. 
  
 
  
 들어가려면 마스크를 반드시 써야 하고 사람들 사이에서는 거리를 잘 유지하라고 했는데 이 지침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유수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도의 한 지자체가 PC방 현장 점검에 나섰습니다. 
  
 
  
 입구에는 이용객 명부와 손 소독제가 놓여 있습니다. 
  
 
  
 감염 우려에다 평일인 탓에 빈자리가 많았는데도 곳곳에는 마스크를 쓰지 않은 이용객이 눈에 띕니다. 
  
 
  
 안전거리를 무시하고 옆자리에 붙어 앉기도 합니다. 
  
 
  
 [PC방 직원 : 친구들이랑 같이 게임 하려고 오니까 따로 떨어져서 안 하는 것 같아요.] 
  
 
  
 PC방과 노래방, 클럽에서는 마스크 착용과 출입자 명단 작성, 이용자 간격 유지 등 7가지 방역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서울 시내 클럽들은 대부분 휴업에 동참했다가 지난 주말부터 일부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감염에 대한 걱정을 잊은 듯 서로 바짝 붙어 음악을 즐깁니다. 
  
 
  
 마스크를 안 쓴 사람도 곳곳에 눈에 띕니다. 
  
 
  
 [클럽 이용객 : 코로나가 집 근처에서 걸릴 수도 있고, 어차피 걸릴 것이라면 즐기다 걸려야죠.] 
  
 
  
 노래방은 PC방처럼 입구에 방역 수칙도 붙여 놓고 마스크 착용과 명단을 작성해야 합니다. 
  
 
  
 [노래방 직원 : 마스크 없이는 입장이 안 됩니다.] 
  
 
  
 꼼꼼하게 챙긴다 해도 막상 방에 들어간 뒤 일부 이용객들은 안전거리 유지나 마스크 착용을 따르지 않습니다 
  
 
  
 [노래방 이용객 : (마스크를) 걸치고만 있었어요. 저는 안 걸릴 걸 저는 알아요. 걸릴 확률이 별로 없어 보여서요.] 
  
 
  
 PC방과 노래방 업주들은 카페나 식당도 다중이용 시설인데 자신들만 사회적 거리 두기의 표적이 됐다며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영상편집 : 김준희, VJ : 김형진)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