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단독] '급강하' 회항 대한항공…'정비 불량'에 무게

<앵커>

사흘 전 인천에서 타이완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여객기가 기내 압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이상이 생겨 긴급 회항했다고 전해 드렸습니다. 정부가 원인 조사에 나섰는데 우선은 정비 불량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걸로 확인됐습니다.

노동규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인천공항을 떠난 지 50분 만에 기내 기압 조절에 실패해 6천m를 급강하한 뒤 회항한 대한항공 189편 여객기.

기내 기압을 조절하는 여압 기능이 멈춰버린 탓이었는데, 사고 조사에 나선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와 국토부는 대한항공의 '외기 유입 계통' 정비 불량에 무게를 두고 있는 걸로 S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여객기는 동체 아래 외기 유입구에서 찬 공기를 받은 뒤, '열 교환기'를 통해 엔진의 뜨거운 공기와 희석해 기내로 전달하는데, 충분한 외기가 전달되지 못해 열 교환기가 제 기능을 못 했고, 여압 기능까지 멈추게 했다는 겁니다.

[최세종/한서대 항공정비학과 교수 : 항공기 제트 엔진이 회전을 하면서 압축 공기를 만들거든요. 근데 너무 뜨겁기 때문에 외부에 있는 공기하고 섞어서 온도를 맞춰서 기내에 넣거든요.]

각 항공사에 여압 장치 멈춤 가능성, 정비 사항 안내한 미국 보잉사
각 항공사에 여압 장치 멈춤 가능성, 정비 사항 안내한 미국 보잉사

미국 보잉사는 해외 사례를 통해 여압 장치의 멈춤 가능성을 각 항공사에 알리고 정비 사항을 안내했던 걸로 전해집니다.

열 교환기를 점검해 문제가 있으면 외기 유입 계통을 청소하거나, 교환기 자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해당 여객기가 도입 5년이 채 안 됐다는 걸 고려하면, 일단은 정비 문제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겁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때 숙련 정비 인력이 많이 이탈한 뒤 충원과 교육이 부족한 가운데 업무강도가 급증했던 것도 원인"이라고 밝혔는데, 이에 대해 대한항공 측은 사고조사위의 조사 결과를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기내 압력조절 장치 두 개가 1분 내 시차를 두고 멈춘 부분에 대해서는, 문제 발생 시 여압 장치를 모두 꺼 버리는 보잉 측의 설계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와 향후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국토부는 정비와 조종 분야 등을 전부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김윤성, 디자인 : 방명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