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펜션 업주가 전화해 "직거래하자"…요청 응했더니 '날벼락'

<앵커>

여름휴가 계획 짜고 계시는 분들 많죠. 숙박 예약하시기 전에 이 보도 꼭 보시면 좋겠습니다.

숙박 업주에게 황당하게 당했다는 제보자 사연을 정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김 모 씨는 최근 8월 휴가를 위해 숙박중개 플랫폼에서 강원도 양양의 한 펜션을 예약했습니다.

곧바로 펜션 업주가 전화를 걸어와 "'중복예약'이 됐으니 플랫폼 예약을 취소하고, 다른 방을 직거래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업주 권유대로 김 씨는 플랫폼 예약을 취소하고, 업주 계좌로 숙박비 100여만 원을 보냈습니다.

숙박중개 플랫폼과 취소 수수료가 다른 숙박업체

[김 모 씨/예약자 : 지인이 갑자기 다음 날 사정이 생겨서 못 가겠다 해서 취소를 해야 해서 전화했거든요. '성수기 20% 취소 수수료'가 나온다고 그렇게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예약 하루 만에 취소했고 숙박일까지 50일 이상 남았는데도 20만 원을 떼인 것입니다.

중개 플랫폼에 '6일 전 취소는 100% 환불'이라고 돼 있지 않았냐고 따지니, 자기 홈페이지에는 수수료 20%를 뗀다고 적혀 있다는 황당한 답이 돌아왔습니다.

중개플랫폼과 홈페이지에 다르게 적힌 취소수수료

[펜션 업주 : 홈페이지에도 나와 있는 사항입니다.]

[김 모 씨 : 전화로 했기 때문에 예약을 볼 수 없어요. 전화로 돈을 주고받았기 때문에.]

이 펜션은 지금도 빈방이 남아 있어 업주가 고의적으로 플랫폼 예약을 취소하게 했다는 의심도 들었습니다.

[김 모 씨/예약자 : 지금도 (처음 예약한) 그 방이 계속 떠 있거든요. 일부러 취소하게 한 다음에 (중개) 수수료 안 물려고 그렇게 하는 건가.]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분쟁 해결기준에 따르면 성수기는 이용일 10일 전까지는 100% 환급을 권고하고 있지만, 말 그대로 권고일 뿐입니다.

소비자원에 접수된 숙박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최근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최난주/한국소비자원 담당팀장 : 인터넷이나 모바일 앱을 통해 숙박을 예약하는 경우에는 관련 법에 따라 계약 후 7일 이내에는 청약 철회가 가능합니다.]

다만, 이용 시점에 임박해 취소하면 청약 철회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사업자의 취소 규정을 꼼꼼히 확인해야 분쟁을 피할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장운석, 영상편집 : 황지영, 디자인 : 최재영·조성웅·홍지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