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만 원 안되는 반팔 판다…한국 진출 선언한 '패션계 알리'

<앵커>

전 세계에서 한 달 이용자가 3억 명에 이르는 중국 온라인 의류 쇼핑몰이 우리나라에 진출했습니다.

최근 중국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커진 상황에서, 우리 소비자들은 과연 어떤 선택을 할지 고정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중국 초저가 의류 판매 플랫폼 '쉬인'.

반팔 티셔츠는 1만 원도 안 되고, 원피스 가격도 2만 원 안팎입니다.

[조하언/대학생 : 보세 의류 같은 경우에도 바지는 4만~5만 원대인 것 같고, 원피스도 디자이너 브랜드 같은 경우에는 20~30만 원 훌쩍 넘으니까. 엄청 싼 거 아닌가요?]

전 세계 월간 이용자 수만 3억 명에 달하는 쉬인은 지난해 미국과 유럽 등 150개 나라에서 매출 62조 원을 기록할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순이익은 이미 세계적인 패스트패션 브랜드 자라와 H&M을 제쳤습니다.

중국 이커머스 알리, 테무보다 다소 늦게, 쉬인이 한국 진출을 공식화했습니다.

아직 공격적 마케팅 전인데도 국내 패션플랫폼 가운데 사용자 수 10위로, 향후 가성비를 따지는 소비자들을 겨냥할 걸로 보입니다.

[안서준/대학생 : 저는 (옷을) 주로 '무신사'에서 사는데, 싸다고 사실 안 좋은 옷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편의성만 갖춰진다면….]

[조서영/대학원생 : (쉬인이) 디자인도 되게 다양하고 트렌디한 옷이 좀 많은 것 같아서 (좋긴 한데) 원래 기본 디자인이 있는데 그걸 카피한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국내 스파 브랜드와 패션 플랫폼, 이커머스 업체에 미칠 영향이 관심인데, 특히 중국 공장에서 만든 옷을 동대문에서 사입해 파는 국내 쇼핑몰에는 위협이 될 전망입니다.

[정연승/단국대 경영학부 교수 : (중국) 광둥성 이쪽에서 생산에서부터 바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까지를 일관 되게 진행하는 거기 때문에 훨씬 더 파괴력이 있다.]

다만 알리 테무로 인해 유해 물질 검출과 디자인 도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이 커져 있는 만큼, 이 논란을 넘어설 수 있느냐가 시장 안착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김학모, 영상편집 : 안여진, 디자인 : 서승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