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0개 안되는데 건들면 '툭'…"올해 농사 끝" 보상도 막막

<앵커>

대표적인 사과 산지이죠, 경남 밀양 얼음골에 올해는 사과가 열린 나무 자체를 찾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올해 농사가 이미 끝이라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홍승연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남 밀양 얼음골의 한 사과 밭입니다.

주렁주렁 달렸어야 할 사과 열매가 보이지 않습니다.

사과나무에는 푸른 잎사귀만 무성합니다.

이 사과농장에 있는 나무들에서는 매년 그루 당 100~150개 정도의 사과가 열렸었는데요.

올해는 이렇게 그루당 10개도 채 열리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생긴 열매도 씨가 없이 말라 건드리기만 해도 툭 떨어지기 일쑤입니다.

[박희윤/사과 농민 : (올해 농사는) 끝입니다. 그나마 달린 것도 나중에 태풍 와서 떨어지면 사과가 더 없겠죠.]

인접한 다른 과수 농가도 예년에는 이맘때 평균 착과율이 95%를 넘었지만, 올해는 20% 남짓에 불과합니다.

[이상열/밀양얼음골사과발전협의회장 : 냉해, 우박이라 해도 올해만큼 이만큼 심한 해는 없었거든요. 농약 값도 안 나옵니다. 사실.]

전문가들은 꽃 수정 시기인 4월 말부터 5월 초 밀양 지역 기온이 크게 오른 것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사과꽃 수정에 적합한 기온은 10~20도 사이지만 이 시기 낮 기온이 28도까지 치솟았습니다.

[윤태명/경북대 원예과학과 명예교수 : 온도가 높으면 꽃이 피어 있는 시간이 짧거든요. 벌이 꿀을 나를 수 있는 기간이 짧아지니까 수정률이 떨어졌을 가능성이….]

이렇게 꽃이 수정하지 못해 열매가 안 열린 것은 밀양 지역에서만 이례적으로 발생한 데다, 재해로 인정받기도 어려워 보상도 막막합니다.

경남도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원인을 찾기 위한 현장 조사를 벌이고, 재해로 인정받는 방안을 찾아볼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정경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