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나라 위해 목숨 바쳤는데…60년 넘게 방치된 청년들 혼

<앵커>

대구의 한 마을에는 6·25전쟁 때 희생된 청년들을 기리는 비석이 있습니다. 그런데 담당 부처의 무관심 속에 정식 시설로 인정받지 못한 채 60년 넘게 방치되고 있습니다.

TBC 안상혁 기자입니다.

<기자>

전원주택이 모여 있는 팔공산 자락 한 마을.

도로 구석으로 현충비가 자리했습니다.

주변에 잡초가 무성하고, 꽃가루가 덮인 비석 표면은 꽤 오래 방치된 걸로 보입니다.

6·25 한국전쟁에 참전한 뒤 돌아오지 못한 마을 청년 59명을 기리는 현충비로 1962년에 세워졌습니다.

한쪽에는 응소 출정, 소집에 응하여 군에 입대해 싸움터에 나갔고, 위명 순직, 목숨을 바쳐 직무를 다하다가 숨졌다는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대구 지방원호청장의 이름도 적혀 있는데 원호청은 지금 대구보훈청의 전신입니다.

건립 당시만 해도 보훈 당국의 지원이 있었지만 이후 60여 년간 현충 시설로 지정되지 못했습니다.

[이찬교/대구 동구 중대2동 통장 : 국가 원호청에 협조 요청을 하고, 우리가 이런 걸 하니까 너희가 행정적 지원을 해달라고 해서 하게 됐고, 달성군에서 현충일 행사를 같이 하면서 관에서 지원을 해줬고….]

마을 주민들은 현충비에 나오는 59명의 위패가 앞산 충혼탑에 있어 공적이 명백한데도 현충 시설로 지정되지 못한 현실을 안타까워합니다.

1992년 지역 신문에도 이곳을 찾는 이가 없고 담장도 낡았다고 보도됐는데, 30여 년 전에도 관리가 되지 않았던 겁니다.

지자체는 국가보훈부 지정 현충 시설만 관리할 뿐, 미지정 현충 시설은 통계조차 없는 실정입니다.

뒤늦게 현장 조사를 벌인 지자체, 이제 서야 현충 시설 지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보훈부에서 지정한 현충 시설은 2천316개, 이 가운데 대구에는 48개가 있습니다.

(영상취재 : 노태희 TBC)

TBC 안상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