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술 안 마셨는데 알코올중독?…캐나다 여성 '자동양조 증후군' 확인

술 안 마셨는데 알코올중독?…캐나다 여성 '자동양조 증후군' 확인
▲ 자동양조증후군은 표준 진단법이 없어 가족력, 혈중 에탄올·간 효소 검사, 포도당 섭취 후 에탄올 검사, 위장 세균·곰팡이 배양 등을 거쳐 진단한다.

술을 마시지 않아도 알코올 중독에 걸릴까?

캐나다에서 장내 미생물에 의한 탄수화물 발효로 알코올이 만들어지는 '자동양조 증후군'(Auto-brewery syndrome)을 앓는 50세 여성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캐나다 토론토대 라헬 제우드 박사팀은 4일 캐나다 의학협회 저널(CMAJ)에서 술을 마시지 않는데 알코올 중독 증세로 2년간 7번이나 응급실을 찾은 50세 여성이 자동양조 증후군으로 진단돼 치료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여성은 과거 명절 때 와인을 한 잔 정도 마셨고 근래에는 종교적 신념으로 술을 전혀 마시지 않지만, 응급실을 찾았을 때는 말이 어눌하고 알코올 냄새가 나며 혈중 에탄올 농도가 높아지는 증상을 보였습니다.

그는 응급실 방문 때마다 지속적인 무기력증과 졸음으로 1~2주간 휴가를 내야 했고 식욕이 억제돼 거의 먹지 못했으며 무기력증과 졸음이 1~2개월마다 재발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여성이 7번째 응급실을 찾았을 때 응급의학과, 소화기내과, 감염내과, 정신과 의료진의 진단을 통해 자동양조 증후군 진단을 내렸습니다.

자동양조 증후군은 탄수화물이 장내 미생물에 의해 알코올로 발효되는 희귀질환입니다.

1948년 아프리카 우간다에서 장 파열 소년의 장 내용물에서 알코올 냄새가 났다는 보고로 처음 알려졌으나 병의 실체와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증상으로는 1952년 일본에서 처음 진단됐고 미국에서는 1980년대에 첫 사례가 확인됐습니다.

술을 마시지 않았는데 음주운전으로 적발되는 사례로 드물게 발견되고 있지만 전 세계에서 지금까지 보고된 사례는 100건이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동양조 증후군의 원인은 장내 미생물 군집에서 알코올 발효를 일으키는 미생물이 과도하게 증식하는 것입니다.

맥주 발효에 쓰이는 출아형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칸디다균(C.albicans, C.tropicalis, C.glabrata), 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 등이 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의 원인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고 표준 진단법도 없습니다.

치료법도 항진균제 처방과 저탄수화물 식단 등으로 제한적이라고 연구팀은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이 환자에게 장내 미생물 보충을 위해 프로바이오틱스를 투여하고, 장내 미생물 이상 증식을 줄이기 위해 항생제 사용을 제한하며 경과를 관찰 중입니다.

환자는 6개월 동안 증상이 없었고 포도당 경구 섭취 후 30분~48시간 사이에 실시되는 검사에서도 에탄올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현재 탄수화물 섭취량을 점진적으로 늘려가고 있습니다.

제우드 박사는 "자동양조 증후군은 환자와 그 가족에게 상당한 사회적, 법적, 의학적 문제들을 초래한다"며 "이 환자 사례는 이 증후군에 대한 인식이 임상 진단과 관리에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사진=CMAJ/Rahel Zewude et al.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