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글로벌D리포트] 지하철 · 화장실에서도…중국 안면인식 기술 어디까지?

중국 톈진시 지하철역, 승객이 개찰구 앞 모니터에 얼굴을 갖다 대니 출입구가 열립니다.

최근 본격 운영을 시작한 지하철 안면인식 승차 시스템입니다.

앱에 얼굴만 등록해놓으면 자동 결제가 되기 때문에 현금이나 지갑, 휴대전화를 들고 다닐 필요가 없습니다.

[승객 : 남자들은 가방을 잘 갖고 다니지 않아서 자주 휴대전화를 갖고 오는 걸 잊기도 합니다. 이 시스템은 매우 편리하고, 휴대전화를 갖고 다니지 않아도 됩니다.]

마스크를 쓰고 있어도 안면 인식이 가능해 지하철 승차에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항저우시 한 공원의 공중화장실, 이용객들이 출입문 앞 기계 카메라 렌즈에 얼굴을 보여주니, 잠시 뒤 아래에서 화장지가 나옵니다.

접촉을 최소화해 전염병을 예방한다는 차원에서 지난 2020년부터 설치를 시작했지만, 지금은 한 명이 너무 많은 양의 휴지를 사용하는 걸 막는 데 더 큰 목적이 있습니다.

[시스템 개발자 : 15분 안에 휴지를 한 번만 받을 수 있고, 또 받으려면 15분을 기다려야 합니다. 휴지 낭비를 막자는 겁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안면 인식 기술을 자랑하는 중국에서는 아파트나 건물 출입, 교통 위반 감시 등은 물론이고, 생활 곳곳으로 안면 인식 기술이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그만큼 사생활 침해 논란도 뒤따르고 있습니다.

당국은 개인 정보는 저장되지 않는다고 강조하지만,

[당국 : 사진을 저장하지 않습니다. 단지 얼굴이 일치하는지만 확인합니다.]

시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시민 : 이 시스템은 별로입니다. (이유가 뭐죠?) 안면인식을 하면 개인정보가 다 새어나가기 때문이죠.]

안면인식 기술 발전이 생활의 편리함은 커지고 있지만, 동시에 무분별한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한 우려와 반발도 뒤따르고 있습니다.

(취재 : 권란 / 영상취재 : 최덕현 / 영상편집 : 김병직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