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대책반 가동…'호르무즈 파병' 고민

<앵커>

우리가 쓰는 석유의 70%가 중동산이고 또 우리 국민들도 많이 가 있어서 정부도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영국 같은 경우에는 해군을 보내서 원유 수송선을 호위하게 할 계획인데, 우리도 그런 정도까지 가야 하나 고민에 들어갔습니다.

정혜경 기자입니다.

<기자>

외교부는 오늘(5일) 긴급회의를 열어 중동 지역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24시간 긴급 대응체제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이라크에는 우리 국민 1천600여 명, 이란에도 290여 명, 이란의 보복 공격 가능성이 거론되는 레바논과 이스라엘에는 각각 150여 명, 700여 명이 체류 중입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재까지 우리 국민과 기업은 모두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면서도 "상황이 악화하면 단계별 조치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란군은 우리가 수입하는 원유의 70%가 통과하는 호르무즈 해협을 무력 봉쇄할 수 있다고 위협했습니다.

미국의 요청으로 호르무즈 파병을 검토해 온 우리 정부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현재 아덴만 해적 소탕 임무 중인 청해부대의 작전 지역을 호르무즈 해협까지 확대하는 방식 등을 검토해 왔습니다.

하지만 잠수함을 보유한 이란군을 상대로 청해부대 투입이 적절한지, 국회 비준 동의 여부 등을 놓고 논란이 불가피합니다.

정부는 "안전 항행을 위한 국제 사회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는 원칙 아래 고민 중이라고 밝혔는데, 우리 군 연락장교를 현지 미군 쪽에 파견할지가 호르무즈 파병의 첫 단추로 주목됩니다.  

(영상편집 : 장현기)   

▶ 로하니 "모든 이란 국민이 보복"…미군기지 공격 예고
▶ 트럼프 "공격 시 이란 52곳 타격"…중동 화약고 폭발하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