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광주형 일자리' 현대차 투자 협상 마침내 타결…31일 협약식

'광주형 일자리' 현대차 투자 협상 마침내 타결…31일 협약식
합작법인을 통해 완성차 공장을 설립하는 '광주형 일자리'를 둘러싼 광주시와 현대자동차와의 투자 협상이 타결됐습니다.

지난해 6월 19일에 이어 12월 5일 예정됐던 현대차 광주 완성차 공장 합작법인 설립 투자협약이 두 차례나 전격 무산된 뒤에 이룬 극적인 성과입니다.

광주시는 오늘 오후 5시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노사민정협의회를 열고 현대차와 그동안 진행한 협상안 내용을 공개하고 이에 대한 심의를 벌였습니다.

위원들은 지역 노동계와 상생협의회 결정사항의 유효기간을 비롯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지속 창출을 위한 노사상생발전협정서'를 만장일치로 의결했습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이를 토대로 현대차와 최종 협상을 마무리한 뒤 내일 오후 2시 30분 광주시청 1층 로비에서 노사민정 대표와 시민 등이 참여한 가운데 현대차와 투자협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협약식에는 정부를 비롯한 여야 정치권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최근 협상을 벌여 마지막 쟁점이 된 '임금·단체협상 유예' 조항에 대해 절충점을 찾고 잠정합의안을 만들었습니다.

'임금·단체협약 유예조항'을 그대로 존속하는 대신 노동계의 주장을 받아들여 '법에 따른 노동 활동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단서조항으로 추가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최종 협상안에는 이 쟁점 조항 외에도 기존에 합의했던 안정적인 노사관계 정착을 위한 상생발전협의회 구성 방안, 선진 임금체계 도입, 적정 노동시간 구현과 인력 운영방안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광주시는 지난해 12월 5일 예정됐던 협약식이 무산된 뒤 이용섭 시장이 협상팀을 재정비하고 직접 협상단장을 맡아 전면에 나서면서 타결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최종 협상안에는 광주시가 법인 자본금 7천억원 가운데 자기자본금 2천800억원의 21%인 590억원을, 현대자동차는 19%인 530억원을 신설할 법인에 투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초임 연봉 3천500만원, 근로시간 주 44시간 등으로 합의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당초 지난해 12월 5일 노동계가 반발하는 임단협 유예조항을 빼고 연봉 주 44시간에 3천500만원, 생산 규모 연산 10만대 등의 수정안을 의결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차가 초기 경영 안정을 위해서는 '35만대 달성까지 임단협 유예' 조항이 들어가야 한다며 곧바로 거부해 협상이 무산됐습니다.

광주형 일자리는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해 노동자 임금을 낮추는 대신 주택·교육· 의료 등을 지원해 실질적인 임금을 높여주는 방안입니다.

광주시가 조성 중인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 완성차 생산공장을 짓고 이 공장을 경영할 신설독립법인에 현대자동차의 투자를 끌어내는 것이 핵심입니다.

연간 10만대 규모의 1천cc 미만 경형 스포츠유틸리티 공장을 지어 직접 고용 1천여 명 등 직간접 고용 1만2천여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