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늑장 문자' 실수해놓고 통신망 핑계 댄 안전처

<앵커>

이번 지진에서 가장 큰 불안감을 준 게 바로 늑장 문자메시지였죠. 그런데 그 이유가 통신량 폭주가 아니라 국민안전처의 실수 때문으로 드러났습니다. 

한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국민안전처는 규모 5.8의 강진 발생 뒤 9분 뒤에야 재난 문자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이마저도 못 받은 사람이 훨씬 많았습니다.

국민안전처는 통신망 핑계를 댔습니다.

[이승우/국민안전처 대변인 (지난 9월 13일) : 일시적으로 통신사의 기지망에 폭주하는 관계로 기지국에서 다 소화하지 못하는 과정에서 일부 이런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기상청과 통신사가 협의해 동 단위로 세분화된 지역명을 SK텔레콤은 한번에 120개, KT는 77개까지만 입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어 놓고, 용량을 넘는 지역명을 입력하자 오류가 난 겁니다.

[황영철/새누리당 의원 : (지역) 코드 무시한 채 발송 의뢰했기 때문에 안 된 거예요. 확인해 보셨어요?]

[박인용/국민안전처 장관 : 확인해 봤습니다. KT와 SKT는 (문자) 못 받습니다.]

정부는 지진 발생 10초 안에 긴급 문자를 보내는 시스템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기상청이 지금처럼 국민안전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대국민 재난 문자를 발송하기로 한 겁니다.

하지만 지진 규모와 범위를 파악하고 문자를 입력하는 시간을 고려할 때, 현행 장비와 인력으론 어렵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부는 경주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로 하고, 피해 주민 심리 치료를 포함한 종합적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주용진, 영상편집 : 최은진)    

[2016.09.21 8뉴스]
▶ 국민안전처 '지진 앱' 사용해 보니…엉터리 정보
▶ 지진 계속되자…부랴부랴 '지진 보험' 판매 중단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