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비자 기만 '무제한 요금제'…생색내기 보상

<앵커>

SK텔레콤을 비롯한 통신사들이 내놓은 무제한 요금제가 말만 무제한이라고 해서 소비자들의 원성이 높았습니다. 그래서 정부가 조사에 나서자, 통신사들이 부랴부랴 보상안을 내놨는데, 이게 또 생색내기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송욱 기자입니다.

<기자>

SK텔레콤의 광고입니다.

데이터와 음성, 문자를 무제한으로 쓸 수 있다는 이런 광고를 믿고 가입했다가 김 모 씨는 낭패를 봤습니다.

[김 모 씨/음성 무제한 요금제 이용자 : 영상통화도 무제한이겠거니 하고 많이 사용했는데, 2만 원 정도가 더 많이 부과돼서 놀랐던 거죠.]

무제한 요금제는 광고와 달리, 데이터는 일정량을 초과하면 속도가 떨어지고 음성과 문자는 차단되거나 추가 요금을 내야 했습니다.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는 무려 2천5백만 명 이상이고 SK텔레콤 고객이 가장 많았습니다.

공정위가 조사에 나서자 이통사들은 뒤늦게 보상안을 내놨는데, 데이터를 최대 2GB까지 제공하고, 문자와 음성 초과사용 요금은 환급해 준다는 겁니다.

하지만 3개월 내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이 있는 데다 보상 수준도 피해에 크게 못 미친다는 평가입니다.

[이주홍/녹색소비자연대 정책국장 : 짧은 기간 동안 (데이터 등을)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고요. 통신사 입장에서는 트래픽 증가 외에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이런 시정방안을 내놓은 오늘(17일)도 무제한 요금제는 예전 그대로 팔리고 있습니다.

[휴대전화 판매점 : 5만9천9백 원에 다 무제한이에요. 통화와 데이터 다 무제한이거든요.]

공정위의 처리방침에도 불만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심현덕/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간사 : 피해 수준에 훨씬 못 미치는 자진 시정을 할 경우에는 이 자진 시정 제도가 대기업에 대한 면죄부로 기능할 수밖에 없습니다.]

소비자 기만행위에 대한 엄벌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설치환, 영상편집 : 윤선영, VJ : 정민구) 

▶ 이름만 '무제한' 요금…통신사의 배상방안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