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얼굴 왜 가리나"…원영이 계모·친부 신상 공개 '논란'

"얼굴 왜 가리나"…원영이 계모·친부 신상 공개 '논란'
7살 신원영 군을 끔찍한 학대 끝에 숨지게 한 계모와 친부의 얼굴을 공개해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찰은 또 다른 피해자인 원영이 누나(10)의 인권을 고려해서라도 피의자들의 얼굴 공개는 불가하는 입장을 고수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경찰이 계모 김 모(38)씨와 친부 신 모(38)씨를 살인죄를 적용해 검찰에 송치한 16일 '원영이 사건' 관련 기사에는 계모와 친부의 얼굴과 실명을 공개하라는 질타 섞인 댓글이 쏟아졌습니다.

앞서 14일 원영군이 살던 평택 집과 암매장 야산에서 진행된 이 사건 현장검증에서도 분노한 주민들이 "락스계모 얼굴을 공개하라"며 이들의 신상 공개를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한 누리꾼은 "끔찍해서 기사를 끝까지 읽지 못하겠다. 왜 이토록 잔악한 범죄자들의 얼굴을 가려주느냐"고 했고, 또 다른 누리꾼은 "마스크를 벗겨달라. 락스를 붓고 찬물을 끼얹은 계모의 얼굴을 보고 싶다"고 성토했습니다.

평택시 포승읍 한 주민은 "계모와 친부의 얼굴은 물론 실명까지도 낱낱이 공개를 해야 한다"며 "아이는 추워서 덜덜 떨다 죽었는데, 왜 이들은 따뜻한 솜옷을 입혀주고 모자와 마스크로 얼굴까지 가려주느냐"고 울분을 터뜨렸습니다.

현행 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에는 범행수단이 잔인하고 중대한 피해가 발생한 특정 강력범죄의 피의자가 그 죄를 범했다고 믿을 만한 충분한 증거가 있을 때 얼굴을 공개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앞서 경찰은 강호순 연쇄살인사건(2009년) 이후 2010년 4월 특정강력범법에 신설된 '8조 2항(피의자의 얼굴 등 공개)'을 근거로, 흉악범의 얼굴과 실명을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같은 해 6월 경찰은 서울 영등포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여학생을 납치해 성폭행한 김수철(49)의 얼굴사진을 처음으로 직접 찍어 일반에 공개했습니다.

이번 사건 피의자인 계모 김 씨와 친부 신 씨에 대해 살인, 사체유기, 아동복지법 위반 등의 혐의가 적용됐습니다.

락스를 붓고, 찬물을 뿌려 7살 원영이를 사망에 이르게 했다는 점과 이어 실제로 적용된 혐의를 놓고 보면 얼굴을 공개해야 한다는 여론에 힘이 실립니다.

그러나 경찰 관계자는 "숨진 원영이 누나도 똑같은 피해자다. 피해자 인권을 고려했을 때 계모와 친부의 얼굴을 공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등 관련 법률을 검토한 끝에 내린 결론"이라고 말했습니다.

고검 부장검사 출신의 한 변호사는 "범행수단이 잔인하고, 중대한 피해가 발생한 점은 사실이지만, 얼굴 공개로 인한 국민의 알권리 보장, 재범방지 및 범죄예방 등의 효과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현행법은 무엇보다 피의자와 남겨진 피해자의 인권을 신중히 고려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원영이 계모 "미안하다…벌 받겠다" 뒤늦게 잘못 인정

▶ [비디오머그] ‘원영이 사건’ 현장검증…"죽을 줄은 몰랐어요" 담담하게 재연

▶ [취재파일] 7살 원영이가 이승에 남긴 편지

▶ "원영이, 먹을 것 집착하는 모습에 가슴 아팠어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