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율주행차 '성큼'…사고 시 기준 마련 시급

<앵커>

이런 인공지능 기술이 자동차 분야에 접목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자율주행차'입니다. 운전자 조작 없이 자동차 스스로 움직이는 기술이죠. 구글은 이미 시험운행을 330만km나 진행했고, 세계 유명 자동차 업체들도 경쟁적으로 개발에 뛰어들었습니다. 국내에서도 오늘 처음 시험운행 허가를 받은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달렸습니다. 하지만 실제 운행에는 풀어야 할 문제들이 많습니다.

김흥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스스로 차선을 바꾸고 장애물이 나타나면 알아서 정지하는 자율주행차.

이미 외국기업 몇 곳의 기술은 상용화 직전 단계까지 와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현대 제네시스 자율주행 차량 1대가 처음 도로 시험운행 허가를 받았습니다.

고속도로 2곳과 일반도로 등 지정된 6개 구간에서 시험운행이 진행됩니다.

[정의경/국토교통부 자동차운영과장 : 2020년 정도에 부분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될 것이고 2030년쯤에 완전 자율주행차로 가는 방향으로….]

하지만 자율주행차가 이렇게 복잡한 실제 도로환경에서 상용화되기까지는 풀어야 할 과제가 더 많습니다.

현재로썬 자율주행 차량 관련 법 규정이 전혀 없어, 사고 때 제조사와 운전자 간 책임 공방이 불가피합니다.

[하종선/변호사 : (자율주행 모드에서) 사고가 났을 때 책임을 몇 대 몇으로 진다든지 이런 식으로 법이 보완이 되어야 합니다.]

보험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기형/보험연구원 금융전략실장 : 사고 책임을 어느 누구한테 부담을 시켜야 할 것인가가 결정이 되어야 그에 따른 보험상품 운영이 가능합니다.]

또, 긴박한 상황에서 차량이 보행자와 운전자 가운데 누구를 보호하게 할지도 선택해야 합니다.

[김필수/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 자율주행차는 프로그램입니다. 예를 들어 탑승자 한 명의 생명을 보호하는 게 우선이라고 하면 길거리에 있는 (보행자) 열 명을 치고 갈 수도 있다는 거죠.]

국토부는 올 하반기부터 이런 문제들에 대한 연구용역을 진행해 기준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홍종수, 영상편집 : 이홍명, 화면출처 : 유튜브)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