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영유아도 '수면 부족'…뇌 발달 지연될 수도

<앵커>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루평균 잠자는 시간은 6시간 48분입니다. OECD 국가 평균(8시간 22분)보다 1시간 반 이상 짧아서 최하위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영유아들도 잠자는 시간이 부족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하루에 자는 시간이 11시간 53분으로 서양에 비해 1시간 정도 짧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뉴스인 뉴스에서 남주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35개월 된 다연이는 요즘 자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엄마나 아빠가 늦게 퇴근하는 날엔 졸음을 참아가며 놀려고 합니다.

[강지훈/서울 서초구 : 얘가 눈이 스르륵 감기다가도 다시 눈을 부릅뜨고 놀려고 하고, 그런 모습을 보면 더 많이 놀아주면 좋겠는데….]

국내 연구결과 우리나라 36개월 이하 영유아들의 하루 총수면 시간은 평균 11시간 53분으로, 서양 영유아보다 1시간 정도 적었습니다.

TV를 보다가 늦게 자는 게 가장 큰 원인이었고 맞벌이 가정 아이들이 상대적으로 더 짧게 자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린이집 교사 : 아침에 아이를 일찍 깨워서 데리고, 눈 비비면서 어린이집에 오는 거죠. 수면량이 부족하니까 피곤해하고 (부모님과) 헤어질 때 짜증을 내고.]

문제는 영유아 때 잠을 적게 자는 버릇이 생기면 어린이가 됐을 때 뇌 발달이 지연될 수 있다는 겁니다.

프랑스와 캐나다 공동 연구팀이 아이들의 수면 시간에 따른 언어 발달을 추적 조사했더니 네 살 때 하루 10시간씩 잔 아이들은 11시간 잔 아이들보다 10살이 됐을 때 단어능력이 떨어질 위험이 1.7배 높았습니다.

[이문수/고대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수면이라는 것이 아이들 경우에는 뇌가 성장 발달하고 뇌가 만들어지는 시기라는 특성을 갖거든요.]

아이들의 수면 시간을 늘리려면 부모의 수면시간을 늘리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영상취재 : 김학모, 영상편집 : 남  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