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최종적 불가역적 해결"…기시다 "배상 아니야"

<앵커> 

위안부 피해자를 지원하는 문제는 한국정부가 재단을 세우고 여기에 일본이 정부예산 10억 엔을 투입하는 걸로 합의했습니다. 일본이 가장 예민하게 생각하고 있는 위안부 소녀상 문제도 합의문에 담기는 했지만 논란의 불씨가 될 가능성이 많아보입니다.

김정인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 정부는 10억엔, 우리 돈으로 97억 원의 예산을 지원 기금으로 투입한다는 게 양측의 합의 내용입니다. 

우리는 피해자들에게 맞춤형 지원을 할 수 있고, 일본은 정부 차원의 지원에 참여한다는 명분을 얻은 셈입니다.

[윤병세/외교부 장관 : 일본 정부가 앞서 표명한 조치를 착실히 실시한다는 것을 전제로 이번 발표를 통해 일본 정부와 함께 이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임을 확인한다.]

그러나 기시다 장관이 회담 직후 예산 지원이 배상은 아니라고 밝혀 일본 정부의 직접 배상을 요구해 온 위안부 피해자들과 관련 단체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세워진 소녀상 이전 관련 문구도 합의문에 담겼습니다. 우리 정부는 관련 단체와 협의를 통해 적절히 해결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고 밝혔는데 일본의 추가 요구가 변수입니다.

[정구종/동서대 석좌교수 : 기본적으로 일본 정부에 대해서 그런(소녀상 이전논의) 성의를 보이겠다고 약속을 했으니까, 앞으로 그런 움직임은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일본 정부가 합의 사항이라며 소녀상 이전을 압박할 경우 국내 여론이 악화하면서 이전 여부를 둘러싼 논란은 양국 간 갈등으로 비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