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녹번동 주택균열, 공사장 누수 인한 토압 상승이 원인"

"녹번동 주택균열, 공사장 누수 인한 토압 상승이 원인"
서울 은평구 녹번동 공사장 인근 주택 균열 사고는 시공사가 지하에 물이 샌다는 사실을 미처 파악하지 못한 채 토압(土壓)을 잘못 예측하고 공사를 벌였기 때문일 것이라는 견해가 나왔습니다.

오늘(27일) 오후 은평구청 관계자들은 외부 전문가를 초빙해 녹번동 주택가 공사현장 안전점검을 벌였습니다.

점검 결과 전문가들은 인근 주택 8동에 심한 균열이 생긴 이유로 크게 '지하 누수'와 '편토압' 두 가지를 꼽았습니다.

서울시 건설규정심의위원 자격으로 점검에 참여한 경복대 건설환경디자인과 우종태 교수는 "공사장에서 오래된 맨홀이 발견됐는데 여기서 물이 새면서 흙이 물을 머금는 바람에 토압이 올라가 경사지 지지대가 기운 것이 사고 원인"이라고 말했습니다.

지상 5층·지하 1층짜리 다가구주택을 건설하려던 시공사는 이번 달 15일 녹번로6가길 언덕 한쪽을 파내고는 흙이 무너지는 것을 막으려고 흙을 파낸 경사면에 흙막이 지지대를 세웠습니다.

노후 맨홀에서 물이 새면서 지지대 속 흙이 물을 머금었으나 이를 몰랐던 시공사는 지지대를 부족하게 설치했고, 이 때문에 지지대가 기울어 언덕 위 집들도 언덕 아래쪽으로 기울면서 균열이 생겼다는 설명입니다.

우 교수는 "지하수가 통상적인 수준보다 밑에 있는 지형이고 겨울이라 지하수 수위도 낮다 보니 시공사가 누수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 듯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어서 "지하 상수도관도 이음새가 허술해지면서 2∼3시간가량 물이 샜던 사실도 확인됐다"면서 "이 역시 토압 상승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습니다.

우 교수는 "공사 현장 지질 특성상 좌우 토압이 달라지는 '편토압' 현상도 토압 상승의 한 원인이 됐으나 시공사는 이 점도 미처 계산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시공사 측의 협조를 구해 설계도를 확인하고 더 정확한 사고 경위를 파악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현장 점검에는 구청 관계자 3명과 건축 및 토질 관련 전문가 4명이 참여했습니다.

구청 관계자는 "일단 안정화 조치에 미비한 점이 없는지 파악하기 위해 1차로 현장 점검을 한 것이며, 건물의 철거 여부를 결정하는 정밀 안전진단은 안정화 조치가 끝나고 나서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SBS 뉴미디어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