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공육 발암물질' WHO 발표에 업계 '당혹'

'가공육 발암물질' WHO 발표에 업계 '당혹'
국내 가공육 업계는 소시지 등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한 세계보건기구(WHO)의 발표에 따른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한국인의 가공육 섭취량이 많지 않아 이번 연구 결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다만, 이번 발표로 가공육 소비가 줄어들 가능성을 우려하면서 사태 추이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육가공협회 측은 "현재 국내 가공육 소비 수준을 고려하면 문제 될 것이 없다"며 "오히려 이번 발표로 육류 소비 전체가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호도될까 걱정스럽다"고 말했습니다.

WHO는 매일 50g의 가공육을 먹으면 직장암에 걸릴 위험이 18%로 높아진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연간 18㎏을 먹는 셈인데, 한국인의 가공육 소비량은 이보다 훨씬 적은 연간 4.4㎏ 수준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업계는 이번 사안이 개별 기업의 문제가 아닌 만큼 육가공협회 등을 통해 공동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육가공협회는 현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으며 앞으로 적극적으로 해명과 홍보에 나설 예정입니다.

업계는 가공육을 담배나 석면과 같은 발암물질로 규정한 이번 연구 결과에 당혹감과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가공육 소비량이 많은 서구권에서는 주의할 필요가 있겠지만, 국내 섭취량은 유럽이나 미국에 크게 못 미친다"며 "어떤 식품이든 적절한 양을 먹는 게 중요한데 단순히 가공육을 발암물질로 규정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가공육과 붉은 고기가 발암물질이라니 당황스럽다"며 "공신력 있는 기구의 발표여서 판매 등에 영향이 있을 텐데 걱정스럽다"고 말했습니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6일(현지시각) 소시지·햄·핫도그 등 가공육을 담배나 석면처럼 발암 위험성이 큰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붉은 고기의 섭취도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IARC는 소시지나 햄 등 일정한 공정을 거친 육류나 붉은 고기를 섭취하는 것이 직장암이나 대장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가공육은 소금에 절이거나 발효·훈제하는 등 조리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핫도그, 소시지, 쇠고기 통조림, 말린 고기 등이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붉은 고기의 섭취가 대장암, 직장암은 물론 췌장과 전립선암도 유발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SBS 뉴미디어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