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살률 6년만에 가장 낮은데…20∼30대 남자 자살은 늘어

자살률 6년만에 가장 낮은데…20∼30대 남자 자살은 늘어
지난해 자살률이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가운데 20∼30대 남성의 자살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로 생을 마감한 사람은 1만3천836명으로 1년 전보다 591명(4.1%) 줄었다.

하루 37.9명꼴이다.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자)은 27.3명으로 전년보다 1.3명 감소했다.

이런 수치는 2008년 26.0명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2004년 23.7명이던 자살률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2009년 31.0명, 2010년 31.2명, 2011년 31.7명까지 치솟았다가 떨어지는 추세다.

지난해엔 모든 연령층에서 자살률이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20∼30대 남자 자살만 유독 증가세를 보였다.

20대 남자 자살률은 21.8로 1년 전보다 4.2% 늘었고 30대 남자는 36.6으로 0.5% 증가했다.

지난해 자살한 20∼30대 남자는 모두 2천219명이었다.

취업이 어려운 현실이 20~30대의 극단적 선택을 늘린 원인이 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자살은 20∼30대의 사망원인 1위다.

한국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10년 넘게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나라별로 비교할 수 있게 '인구 표준화 과정'을 거쳐 내놓은 한국의 2013년 자살률은 28.7명으로 OECD 평균(12.0)의 두 배가 넘는다.

일본의 자살률은 18.7명, 미국은 12.5명, 독일은 10.8명이었다.

2013년까지 10대의 사망원인 1위도 자살이었지만 작년에는 운수사고로 바뀌었다.

세월호 참사 때문이다.

세월호 참사로 304명이 희생됐고 이 중 단원고 학생은 250명이었다.

통계에는 지난해 10대 291명이 운수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나와있다.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남으로 인구 10만명당 30.9명이었고 강원(29.9명), 충북(26.6명), 인천(26.2명) 순서로 이어졌다.

한국인의 '3대 사망원인'은 여전히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이었다.

이들 요인이 지난해 전체 사망 원인의 47.6%를 차지했다.

암으로 인한 사망이 전체의 28.6%, 뇌혈관질환은 9.9%, 심장질환은 9.1%를 차지했다.

1년 전보다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이 높아진 사인은 폐렴(10.8%)과 고혈압성질환(6.5%), 심장질환(4.4%) 등이다.

모두 노인성 질환으로 꼽히는 것들이다.

특히 폐렴은 10년 전에 비해 사망률이 3배 이상 높아졌다.

윤연옥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노인들이 걸리기 쉬운 폐렴은 고령화에 따른 대표적 사망 원인"이라며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음식이 서구화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 앞으로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뇌혈관질환(-4.2%)과 당뇨병(-3.7%) 사망률은 1년 전보다 낮아졌다.

지난해 전체 사망자는 26만7천692명으로 전년보다 1천435명 증가했다.

하루 평균 733명이 세상을 떠난 셈이다.

연령별로는 80세 이상(4.4%)과 10대(2.3%) 사망자가 증가했고 20대(-7.3%), 30대(-5.3%), 40대(-4.3%)는 줄었다.

표준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는 강원도가 391.0명으로 가장 많았다.

울산(387.7명), 전남(386.7명), 경남(384.6명)이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