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2017년까지 청년 정규직 8만 8천 개 만든다

<앵커>

갈수록 심각해지는 청년 취업난을 완화하기 위해서 정부가 긴급 처방을 내놨습니다. 내후년까지 정규직, 임시직이 아닙니다. 일자리 8만 8천 개를 만든다는 게 핵심입니다.

김용태 기자입니다.

<기자>

간병인 없이 간호사가 간병까지 도맡는 포괄 간호서비스는 현재 일부 지방병원에서 우선 시행되고 있습니다.

[신정화/입원 환자 : (간호사가) 다 해줘요. 머리도 감겨주고 다 도와줘요. 밥 먹는 것도 챙겨주고.]  

청년 일자리 확충 방안의 하나로 포괄간호서비스가 내년부터 서울 지역과 3차 진료기관으로 확대됩니다.

간호 인력 1만 명이 추가 채용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 교원 명예퇴직을 연간 2천 명씩 늘려 내후년까지 1만 5천 명의 신규 교원 자리를 확보하기로 했습니다.

시간선택제 공무원도 4천500명 더 뽑아 공공부문에서 일자리 5만 3천 개를 새로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최경환/경제부총리 : 단기간에 일자리 확대 여력이 있는 공공부문이 앞장서서 청년 일자리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민간 부문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선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서 청년 정규직을 늘린 기업에 신규 채용 1명당 연간 1천 80만 원씩 2년 동안 지원합니다.

민간에서 창출된 일자리 3만 5천 개를 보태면 오는 2017년까지 모두 8만 8천 개의 정규직을 새로 만들 수 있다는 게 정부 구상입니다.

아울러 경제계와 협력해 12만 명 이상의 청년들에게 인턴 같은 일자리 경험 기회를 주고 졸업 후 취업이 보장되는 대학 내 사회 맞춤형 학과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사회 맞춤형 학과는 기업체가 채용을 조건으로 교육 과정 설계부터 참여하는 제도입니다.

(영상취재 : 김현상, 영상편집 : 김선탁) 

▶ 2017년까지 청년 일자리 기회 20만 개 이상 만든다
▶ 최경환 "과감한 세제·예산 지원으로 청년일자리 창출"
▶ '청년일자리 기회 20만 개 창출' 대책에 "글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