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본 인권운동가 "아베, '사과'라는 말 지워" 비판

일본 인권운동가 "아베, '사과'라는 말 지워" 비판
오는 4월 말로 예상되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방미를 앞두고 군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하는 움직임이 미국을 무대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대만, 일본 등 아시아지역의 양심적 인권운동가들이 미국 뉴욕에 이어 워싱턴DC에서 위안부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고 미국 정부와 의회를 상대로 적극적 로비활동을 펴고 있습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 한미연구소와 아시아 폴리시 포인트는 미국 워싱턴DC SAIS에서 '분쟁상황에서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시아지역의 시각'이라는 주제의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세미나에는 일본의 와타나베 미나 사무국장과 대만에서 위안부 피해자 지원사업을 벌이는 강수화 '타이베이 여성구조재단' 사무국장, 2000년대 초·중반 미국 워싱턴을 무대로 위안부 문제 공론화를 주도해온 보니 오 전 조지타운대 교수가 패널로 참석했습니다.

미나 국장은 "아베 정권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유엔 기구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지난 2012년 노다 요시히코 내각이 제출한 보고서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특히 사과와 반성이라는 표현이 삭제되고 '깊이 고통을 느낀다'라는 어정쩡한 말이 들어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미나 국장은 이어 "아베 정권은 집요하리만큼 위안부 문제에 부인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이는 그 자체로 인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전 세계 여성들의 권리를 향상하기 위해 수백만 달러를 쓰면서 어떻게 위안부 피해자에게 보상을 하지 않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날 한국과 대만,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네덜란드 등 각국 위안부 피해자들을 소개한 10분짜리 미니 다큐멘터리를 방영하면서 "위안부 문제는 단순히 한일 간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가 관여된 인권운동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