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범주의 친절한 경제] 밥보다 비싼 커피? '1천 원대 커피' 불티

<앵커>

김범주 기자와 함께하는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그동안 커피값 비싸다는 얘기, 밥값보다 비싸다는 얘기 많이 했었는데, 언론에서 이렇게 하도 떠들어서 그런지 요즘은 싼 커피 파는 프랜차이즈들도 많이 생겼다고 합니다. 1천 원대도 있다면서요?

<기자>

네, 한 잔에 1만 원 넘게 파는 데 있다고 전해드렸었는데, 이게 지금 보니까 아메리카노 한 잔에 사실 원가가 몇백 원이 안 되거든요.

여기에 인건비, 월세 이런 걸 더해도 1천 원, 2천 원에도 역시 팔 수가 있었습니다.

<앵커>

그동안 비싸게 주고 먹었던 게 속상해지는데, 이게 가능한 일이었네요.

<기자>

특히 빵집하고 햄버거 가게가 이렇게 파는 데가 많아요.

가장 싼 곳이 한 햄버거 가게가 한 잔에 1천 원씩 받고 있고요. 2천 원대는 수도 없이 많습니다. 한 번 보시죠.

이름을 방송이라 줄줄이 말씀을 드릴 수는 없는데, 2천800원짜리부터 한 2천 원까지, 이런 체인점들이 꽤 있습니다.

그런데 딱 한 군데 전문 커피전문점 빼고는 말씀드린 대로 빵집하고 햄버거집이에요.

이게 어떻게 싸게 파냐, 이유가 있는데, 커피 먹으러 왔다가 냄새가 솔솔 나잖아요, 빵하고 햄버거 냄새.

그것도 같이 사 먹게 되지 않겠냐는 계산을 해서 최대한 싸게 파는 거죠.

[정의천/빵집 프랜차이즈 사장 : 커피를 통한 이윤 추구가 아니라 빵, 케이크와 함께 편하게 즐기실 수 있도록 고객서비스 차원에서 제공해 드리는 겁니다.]

커피 프랜차이즈는 그러면 비싸야 되는 것 아니냐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데 여기도 아까 2천800원짜리가 커피 프랜차이즌데요.

보통은 대로변 큰 길가 이런 데를 고집을 하는데 조금 떨어진 데라도 세가 싼 데를 찾으면 한 30%까지 값을 낮출 수 있다고 그래요. 이러면 사람들이 찾아오거든요.

[신성일/커피 프랜차이즈 본부장 : 효율적인 입지 선정과 중소형 매장을 선점하는 전략을 통해서 이러한 비용을 과감하게 털어냈다고 할 수 있고요.]

또 실제로 다 먹어봤는데, 싸다고 맛이 꼭 떨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이런 말 하면 빵집이나 햄버거집에서 싫어하겠지만, 가서 커피만 사드셔도 돼요. 잘 냄새 참으시면 됩니다.

못 참는 게 문제가 되긴 하지만, 잘 이용하시면 돈도 굳힐 수 있고요.

다른 커피전문점들도 이거 아차 싶어서 아마 정신 차리고 원가 낮추려고 노력 안 할 수가 없을 겁니다.

<앵커>

커피 파는 사람들이 "비싸도 사 먹잖아." 이런 생각 못 하게 저희가 소비를 해야 되겠습니다.

원가 얘기 하나 더 해볼까요? 원래는 이번 달부터 부동산 중개 수수료, 부동산 복비 이거 내린다 그래서 이사하시는 분들 조금 절약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기대도 하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잘 안 되고 있다면서요?

<기자>

지금 새 학기 앞두고 집 찾아보시는 분들 많아서 관심들이 꽤 있으실 텐데, 문제는 서울시나 경기도 의회 같은 데서 구체적으로 조례를 정해야 되거든요.

그런데 경기도 의회가 시범 케이스인데, 여기서 지금 거기서 딱 막혀 있습니다.

<앵커>

제가 알기로는 정부 안에서 "딱 얼마로 해라." 정해 놓은 것 같은데 어떻게 막혔다는 거죠?

<기자>

정부 안에서 얼마로 하라기보다는 두 글자가 지금 문제가 되고 있어요.

어떻게 돼 있냐면 전세를 예를 들면, 정부 안은 "3억에서 6억 사이일 때 수수료를 0.4% 이하로 받아라." 이렇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중개사 협회가 원하는 것은 '이하'자를 빼달라는 겁니다.

그렇게 되면 어떻게 되냐면, 3억짜리 전셋집이라고 가정을 해보면 정부 안대로 하면 복비가 120만 원 이하, 그러니까 가서 말 잘하면 100만 원, 혹은 90만 원 그 이하도 될 수 있는 건데, 중개사 협회 안대로 하면 무조건 120만 원을 어딜 가든 내야 하는 거예요.

그러니까 경기도 의회가 중개사 협회도 어려운데 이 정도 해줘야 되는 거 아니냐, 이렇게 하면서 약간 시간이 걸리고 있습니다.

<앵커>

아니, 지금 법안을 올릴 때 이미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 내리는 이유가 있었을 텐데요.

<기자>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죠. 이게 사실 굉장히 오래전에 정한 안이었기 때문에 옛날엔 전세 3억, 매매 6억 이게 굉장히 비싼 집이었지만, 지금은 아니란 말이에요.

그래서 낮추라고 하는 거였는데, 중개사 협회가 당시에 정부가 이렇게 정할 때는 반발을 굉장히 강하게 했지만, 정부 공청회 할 때도 가서 항의를 하고 그랬는데 막지를 못했었어요.

그런데 이제 전략을 바꿔서 지자체에서, 지금 그때 장면 11월인데, "지자체에서 통과시킬 때만 막아보자." 지금 그래서 의회 가서 얘기를 하고 있는 겁니다.

그런데 이번 달에 특히, 서울시 의회가 논의를 시작하는데 이게 왜 중요하냐면 서울시 전셋집의 4분의 1이 3억 이상입니다. 바로 이 조항에 해당이 돼요.

대부분의 서울 주민들이 많이 영향을 받는데, 서울시 의회 문의전화가 많다고 그럽니다.

"한다고 그랬는데 왜 안 하냐." 결국, 이번 달이 지나야 좀 윤곽이 나올 거 같은데 이 진행 상황은 좀 더 보고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앵커>

이제 좀 더 공론화돼서 모두에서 이득이 되는 방향으로 정리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