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출산 기피 이유 중 '교육비 부담'↑"

부부의사결정, '아내주도형' 증가…여성부 제2차 가족실태조사

"출산 기피 이유 중 '교육비 부담'↑"

교육비 부담이 나이라는 생물학적 이유를  제외 하고 출산을 기피하는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부의 의사결정방식에서는 '부부공동형'과 '아내주도형'이 각각 5년 전 1차 조사에 비해 증가해 가정 내에서 여성의 지위가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가 대구대학교와 닐슨컴퍼니코리아에 의뢰해 조사, 24일 발표한 '제2차 가족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녀 출산을 더이상 원하지 않는 이유로 '교육비 부담'을 꼽은 비율이 23.3%로, '나이가 많아서'(39.5%)를 제외하고 가장 큰 이유로 꼽혔다.

1차 조사에서 출산 계획이 없는 이유로 '자녀 양육 및 교육비가  부담스러워서' 를 꼽은 비율이 14.4%였던 데 비하면 교육비 부담이 차지하는 비중이 훨씬 더 커진 것이다.

이번 2차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이상적인 자녀 수를 평균 2.3명으로 꼽았다.

그러나 향후 출산을 원치 않는 이유로 '나이가 많아서'(39.5%)'라는 생물학적인 이유를 제외하고 '교육비 부담'(23.3)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이어 '이미 낳은 아이로 충분하다'(18.2%)는 응답 외에 '양육 스트레스(4.6%)', '일의 방해'(2.6%)', '혼자 육아를 책임져야 하는 부담'(1.2%), '맡길 사람이나 시설 부족'(1.0%) 등  양 육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실제로 생계비 지출에서 자녀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소득이 200만~249만원이라는 가정이 13.1%로 가장 많았으며 자녀의 사교 육비로 월평균 50만~100만원을 지출한다는 가구가 28.8%로 가장 많았고 30만~40만원 지출이 18.5%, 100만원 이상 지출한다는 가정도 13.6%나 됐다. 

공교육비의 월평균 지출액도 10만~20만원이 18.8%, 20만~30만원도 17.4%로 조사 돼 부담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의 주요 목적 역시 '노후생활자금 마련'(26.9%)에 이어 '자녀교육비 마련'( 22.8%)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저출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요구로는 '보육비용의 지원'(30.3%)이 최우선으로 꼽혔고 '아동수당, 출산수당 등 현금 지원'(25.2%), '다양한 보육서비스의  제 공'(14.6%)과 '공교육 강화와 사교육경감 등 교육 관련 정책'(14.6%)이 뒤를 이었다.

부부관계에서는 여성의 발언권이 이전에 비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 1차 조사에 비해 부부가 함께 의사결정을 하는 비율은 자녀교육 관련 문제(54.0→56.7%)와 주택구입 문제(74.3%→77.2%), 투자 및 재산관리 문제(62.5%→70 .8%) 등에서 모두 커졌고 대체로 아내가 한다는 응답도 자녀교육(15.5%→17.6%)과  주택구입(5.1%→9.2%), 투자 및 재산관리(8.9%→11.6%) 등 모든 항목에서 증가했다.

어느 한 쪽이 일방적으로 의사결정을 한다는 가정은 줄었다. 

그러나 여전히 가사노동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의 참여비율이 현격히 높게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 각각에게 질문한 결과 식사준비(남성 22.2%, 여성 80.9%)와 설거지 (남성 29.0%, 여성 84.7%), 세탁(남성 20.4%, 여성 81.5%), 집안청소(40.8%, 86.6%) 에서 모두 여성이 한다는 응답이 훨씬 많았다.

이번 제2차 가족실태조사는 지난해 8월16일부터 10월1일까지 전국 2천500가구의 가족원 4천754명을 대상으로 방문 면접조사를 통해 이뤄졌다.

(서울=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