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日, 위안부 문제 다룬 역사부교재에 '어깃장'

일본 정부와 정치권이 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한일 공동제작 역사 부교재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2일 산케이(産經)신문이 보도했다.

일본 정치권의 표적이 된 역사 부교재는 작년초 한국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구지부와 일본의 히로시마(廣島)현 교직원조합이 공동으로 발간한 '한국과 일본, 그 사이의 역사'(일본어 제목: 일한공통역사교재·배우고 이어지는 일본과 한국의 근현대사)다.

이 부교재는 일본군이 조선의 여성들을 일본군 위안부로 전쟁터에 데려가 성 노예로서의 생활을 강요했다는 설명을 담고 있다.

지난달 17일 중의원 문부과학위원회에서 자민당 요시이에 히로유키(義家弘介) 중의원은 이 부교재 등에 관해 "일면적인 사상에 바탕을 둔 내용으로 매우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달 29일에는 차세대당의 다누마 다카시(田沼隆志) 중의원은 "학습지도요령의 취지에서 벗어난 것이 명백하다"고 견해를 밝히고 적절한 부교재를 선정해 사용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시모무라 하쿠분(下村博文) 문부과학상은 "언론의 자유는 존중해야 하지만 일면적인 내용이라면 그대로 교육 현장에서 쓰게 해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역사 부교재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산케이신문은 문부과학성이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 교육위원회에 부교재를 적절하게 취급하도록 요구하는 통지문을 낼지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이 신문은 이런 조치가 아사히(朝日)신문이 제작해 일선 학교에 무료로 배포한 오키나와 전투에 관한 자료 등 '일방적인 역사관에 기반을 둔 부교재'를 겨냥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일본 정부가 구체적으로 어떤 취지의 대응을 할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일련의 흐름을 보면 일본군이 타민족이나 내부 소수자 등에게 저지른 잔학행위 등 이른바 일본의 역사적 치부를 담은 저작물을 교육현장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방향으로 사태가 전개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시모무라 문부과학상은 아사히신문이 '전쟁 때 제주도에서 여성을 강제로 끌고 왔다'는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사망)의 증언을 담은 기사를 올해 8월 취소했을 때 이 사안이 교과서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그는 올해 8월 15일 기자회견에서 "현행 교과서에는 제주도에서의 강제연행, 이른바 '요시다 증언'을 직접 다루는 기술은 없다"며 "현 시점에서는 이미 검정에 합격한 현행 교과서의 위안부에 관한 기술의 정정을 발행자에게 요구할 것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문부과학위원회에서 시모무라 문부과학상이 내놓은 답변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을 다룬 교재를 문제 삼을 수도 있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