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올해도 반쪽 추도식…유족 "강제동원 부정, 억울해"

올해도 반쪽 추도식…유족 "강제동원 부정, 억울해"
▲ 한국 정부가 21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광산에서 강제노역한 조선인 희생자의 한국인 유족들을 위한 추모식을 현지에서 열었다. 사진은 헌배하는 유족들의 모습

일제강점기 사도섬에 강제동원된 한국인 희생자들에 대한 한국 측 추도식이 오늘(21일) 오전 10시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서 개최됐습니다.

사도섬 내 한 호텔에서 개최된 추도식에 정부 대표로는 이혁 주일대사, 희생자 7명의 유가족 11명이 참석했습니다.

유족들은 어제 외교부 관계자들과 일본 니가타현으로 출국해 배편으로 사도섬에 도착했습니다.

이 대사는 추도사에서 "사도섬에는 조선총독부의 관여 하에 모집, 관알선 및 징용 등의 방식으로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던 많은 한국인 노동자들이 있었다"며 "모든 노동자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 깊은 위로와 애도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도광산에 강제 동원된 고 이봉석 씨의 아들 이철규 씨는 유족 대표 추도사에서 부친이 한국에 돌아온 이후에도 "숨이 가빠 힘든 일을 하실 수도 없었고, 시골에서 나무 하나도 하실 수 없었다"면서 "이 낯설고 먼 땅에서 너무 고생하셨다"며 영면을 빌었습니다.

유족들은 실내 행사 이후 지난해 추도식 장소였던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 제4상애료를 둘러보고 헌화했습니다.

행사에 참석한 또 다른 유족 윤상환 씨는 조부인 윤익성 씨가 가족들을 대표해 강제로 동원됐고 현지에서 숨져 유골로 한국에 돌아왔다고 전했습니다.

윤 씨는 할아버지가 열악한 환경에 노출됐다는 사실에 마음이 아프다면서 "강제노동을 했는데 안 했다고 하는 것 자체가 너무 억울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기숙사 터에 안내판만 마련된 채 황량하게 보존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모형이라도 만들어 한국인들이 많이 볼 수 있게 했으면 좋겠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유족들은 이후 강제동원 현장인 갱도 내부와 조선인 관련 전시물이 있는 향토박물관 내부를 둘러봤습니다.

대다수 유족들이 일본 측의 미흡한 설명에 대해 착잡한 감정을 숨기지 못했는데, 이철규 씨는 일본 측이 "사실을 있는 그대로 적었으면 좋겠다" 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다만 이번 추도식과 관련해 과거사에 대한 한일 양국 간 이견을 부각하기보다는 미래 협력에 방점을 찍는 분위기입니다.

이 대사는 취재진을 만나 "오늘 추도식은 과거의 아픈 기억을 되새기고 앞으로 한일이 밝은 미래를 향해 함께 손잡고 나가자는 그런 의미가 훨씬 강하다"며 "과거의 아픈 경험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양국이 함께 노력해 가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일본은 지난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전체적인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하고, 매년 7-8월 한국과 공동 추도식을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사도광산 시설 내에 강제동원에 관한 기록은 표기하지 않고 있고, 공동 추도식은 추도사에 '강제성'을 나타내는 문안과 관련해 접점이 마련되지 않음에 따라 2년 연속 개최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앞서 일본은 지난 9월 13일 일본 측 인사들만 참석한 가운데 별도의 추도식을 개최했습니다.

사도광산은 에도시대에 금광으로 번성했던 곳입니다.

태평양 전쟁이 본격화한 이후에는 전쟁 물자 확보를 위한 광산으로 활용됐고, 식민지 조선인들은 혹독한 환경 속에서 차별을 받으며 노역을 강요받았습니다.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사도광산에서 노역한 조선인 수는 1천519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