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친절한 경제] "계속 뛴다" 기대심리 여전…10월 집값 뜨거웠다

<앵커>

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계속 내놓고 있지만 집값이 잡힐 거라는 기대는 별로 형성이 안 되고 있는 상황이죠.

<기자>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 소비심리지수를 보면 120.8로 전월 대비 3.3포인트 올랐는데요.

규제 이후에도 집값이 계속 오를 거라는 심리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 소비심리지수가 뭐냐 하면, 국토연구원이 매달 마지막 주에 전국 152개 시군구에서 영업 중인 중개업소와 일반 가구를 함께 조사해서 만드는 지표입니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집값이 오를 것 같다, 거래가 늘고 있다는 응답이 더 많다는 뜻인데요.

95 미만이면 하락 국면, 95에서 115 사이는 보합 국면, 115를 넘으면 상승 국면으로 봅니다.

이번에 120.8이 나왔다는 건 명확하게 상승 구간에 들어섰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지역별 흐름을 보면, 서울은 137.5로 4.1포인트, 인천은 108.9로 6.6포인트, 경기는 124.9로 5.7포인트 각각 상승하면서, 수도권 전체로 보면 전월보다 5.3포인트 뛰어서 127까지 올랐습니다.

비수도권도 113.2를 기록하면서 보합 구간 안에서 상승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다만 이번 조사는 10·15 대책 발표 이전 시장이 과열된 시기까지 포함한 10월 전반 심리를 조사한 결과여서, 대책 이후 매수 심리가 실제로 꺾였는지는 다음 달 발표에서 더 분명해질 걸로 보입니다.

<앵커>

그래서 서울 10월 집값이 한 달 만에 1.19%, 꽤 많이 올랐네요.

<기자>

지난달 서울 집값은 9월보다 1% 넘게 오르면서 7년 1개월 만에 최고 오름폭을 기록했습니다.

전월에는 0%대 상승에 그쳤기 때문에 이번 오름폭은 2배 가까운 수준입니다.

아파트로만 보면 상승세가 더 뚜렷해졌습니다.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는 1.43% 상승해서 전월인 0.58%를 훌쩍 뛰어넘었고, 가격 상승이 가팔랐던 6월 수준에 육박했습니다.

전국 평균과 비교하면 4배를 웃도는 수치입니다.

이번 조사는 10월 1일부터 11월 1일까지 집계됐는데, 10·15 대책 전후 가격이 섞인 거죠.

그 전달보다 10월 한 달간의 상승폭이 눈에 띄게 커진 건데요.

10·15 대책 발표 직전부터 "규제 지역으로 묶일 거다", "토지거래허가구역 될 거다" 이런 전망이 시장에 먼저 돌았고, 특히 한강벨트 중심으로 매수세가 미리 몰렸습니다.

대책 발표 후에도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적용되기 전까지 2년 실거주 요건을 피하려는 수요, 전세 끼고 사려는 막판 갭투자 수요까지 더해지면서 10월 집값을 계속 밀어 올렸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강북권에서는 성동구가 3%가 넘게 오르면서 가장 많이 올랐고요.

마포는 2%대 초반, 광진과 용산, 중구는 1%대 후반으로 상승세가 이어졌습니다.

강남권에서는 송파가 거의 3% 가까이 오르며 상승폭이 컸고요.

강동과 양천도 2%대 중반, 영등포와 동작은 1%대 중반 정도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수도권 전체도 0.6%로, 전월보다 3배 가까이 오름폭이 확대됐고, 경기지역 아파트 같은 경우는 이전보다 6배 넘게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앵커>

전세나 월세 가격도 오르죠?

<기자>

우선 전세부터 보면 지난달 전국 전셋값 상승률은 0.18%로 전월보다 0.08%포인트 오르면서 상승세가 이어졌습니다.

서울은 전월 0.3%에서 0.44%까지 오르며 오름폭이 더 커졌는데요.

선호 단지 중심으로 수요가 이어지고, 신축 대단지 위주로 상승 계약이 계속 체결된 영향입니다.

경기와 인천도 전월보다 두 배 가까이 오르면서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

비수도권 역시 대부분 상승세를 보였고, 특히 세종은 0.9%까지 뛰면서 상승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이렇게 전세 수요가 움직이다 보니까 월세도 덩달아 올랐는데요.

서울 월세는 0.3%에서 0.53%로 뛰면서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고, 경기와 인천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면서 수도권 전체로는 0.3% 올랐습니다.

서울에서는 송파·잠실, 이촌, 목동 같은 대단지·역세권을 중심으로 월세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